2017년 상반기에 공개된 브릭헤즈 시리즈의 제품들을 LDD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41587 로빈입니다.

레고 배트맨 무비에 나왔던 그 로빈입니다.


14,900원에 판매중이고, 99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로빈의 색깔인, 빨간색과 녹색이 보이는군요.

노란색 2x3타일브릭이 2개 들어있는데, LDD에는 없어서 다른 브릭들로 대체했습니다. 렌더링 상으로는 크게 표시나진 않더라고요.


역시나 네모네모한 몸통을 만듭니다.


맨팔에 녹색 장갑을 낀 것을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2x2 브릭으로 머릿속을 채워줍니다.


로빈은 머리카락을 내놓고 다니기 때문에, 배트맨, 배트걸과는 달리 머리카락 표현이 들어갑니다.


동그란 안경도 써줬습니다.


깨알같이 안경태까지 표현했습니다.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한쪽으로 뾰족 솟은 머리카락이 재미있습니다.


41587-bricks.lxf

41587.lxf


스타워즈 레벨즈가 절찬리(?)에 방영하고 있죠.

벌써 시즌3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시기상으로 보면, 에피소드3 이후부터 에피소드4 초반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요.

본편 영화에는 영향을 주진 않지만,

반대로 영화의 등장인물들은 은근히 많이 출연해서 재미를 더하고 있죠.


작년말에 개봉한 로그원;스타워즈 스토리에도 레벨즈 인물이 잠깐 언급됩니다.

레벨즈 애니메이션의 연령대가 조금 낮게 설정되어있어서,

과격한 묘사는 없지만, 우주선 전투씬 등은 의외로 괜찮습니다.


레벨즈의 주인공 일행이 타고 다니는 주요 기체가 고스트인데요..

이미 레고사에서 제품화했던 적이 있습니다.

75053 고스트가 있죠.

재미있는건, 극중에서 고스트 등쪽에 업고다니는 소형 우주선인 '팬텀'을 실제로 레고 제품에서 끼울수 있다는 점입니다. (참고 링크)

물론 팬텀도 75048이라고 제품화되었던적이 있습니다.


시즌3들어서는 기존의 팬텀대신, 분리주의자의 기체를 탈취(?)하여 팬텀으로 운용한다고 하는데..

사실 애니메이션을 그까지 못본 관계로 자세한 이야기는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그렇게 나온 제품이 이번에 살펴볼, 75170 팬텀입니다.


75170은 269피스로 구성되어있고, 공홈기준으로 59,900원에 판매중이라서..

매우매우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미니피겨 3개중에 하나가 그 유명한 '쓰론 제독'입니다.

쓰론 제독의 팬을 위한 제품이랄수도 있겠네요.



브릭구성은 그리 복잡하진 않습니다. 스프링 슈터도 2개 들어있고요.


맹인이 되어버린 케이넌을 조립하고 나서,

바로 팬텀 제작에 들어갑니다.


곤충류를 닮은 분리주의자 기체답게 통통한 몸통으로 시작합니다.


기체의 뒷부분인데, 중앙에 테크닉 브릭으로 스프링 슈터의 방아쇠 역할을 하는 브릭 뭉치를 만들어줍니다.


스프링 슈터까지 넣어서, 몸통부분을 완성했습니다.


스프링 슈터 부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뜯어봤습니다.

중앙 부근에 보이는 노란색+까만색 테크닉 브릭 조합의 뭉치를 좌우로 움직이면,

슈터 브릭을 건드리게되면서 발사됩니다.


기체 중앙에 있는 벼슬(?) 부분을 만들어서 붙여줍니다.

실제로는 스티커가 들어가서 좀 더 알록달록합니다.

그새 쓰론 제독님이 합류하셨군요.


착륙용 다리를 붙여주고, 조종석 부분을 만들어줍니다.

조종석 부분은 나중에 분리가 쉽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캐노피까지 붙이고 나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에는 수납공간도 있습니다.


Stud.io를 활용해서 간단한 연출샷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씩 Stud.io로 LDD에서 못하는 작업을 하곤하는데,

최근에는 렌더링 옵션이 상당히 좋아져서, 이런 연출샷을 만들때 렌더링 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LXF파일 불러올때는 종종 위치 오류가 생겨서 약간 수정해줘야한다는것..?


선배격인 75048 팬텀이랑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비교하니, 왠지.. 75048이 초라해보이는군요.


태생이 분리주의자 우주선이었던만큼, 분리주의자 셔틀(8036)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형 팬텀이 중간에 있으니, 정말 올드 팬텀과 분리주의자 셔틀이 퓨전한것 같은 느낌이네요.


75053 고스트와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더 큰 고스트가 출시할 차례입니다!


75170-bricks.lxf

75170.lxf

75170-size1.lxf

75170-size2.lxf

75170-size3.lxf


예전에 LDD로 작업했던 한정판 배트팟(5004590)의 하얀색 버전을 만들어봤습니다.


하얀색 버전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름대로 실제로 있을법한 브릭 색상으로 바꿔보려 했는데..

테크닉 액슬빔 같은건 어쩔수없이 까만색을 써야할수도 있겠네요.

아니면, 길이가 좀 짧아도 까만색 대신 회색을 써도 될것이고요.


원래 까만색 버전이랑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패널이랑 테크닉 리프트암 부분만 바꿔줘도 상당히 밝은 색으로 꾸밀수 있을듯 합니다.


5004590-BAT POD-bricks(v2).lxf

5004590-BAT POD(white).lxf

5004590-BAT POD(BNW).lxf


2017년 상반기 브릭헤즈 제품들을 연이어 LDD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41586 배트걸입니다.

레고 배트맨 무비에 나왔던 배트걸을 브릭헤즈 제품으로 디자인한 것입니다.

가격은 14,900원이고, 99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역시나 핑크색 2x2브릭은 빼놓을 수 없죠!

2x3 타일브릭이 보라색, 노란색 각각 2개씩 들어있는데, LDD에서는 없는 관계로 1x2타일과 2x2타일 조합으로 마무리했습니다.


네모네모한 몸통입니다.


머릿속도 꽉꽉 채워주고요..


거대한 머리를 보라색 플레이트 브릭으로 덮어줍니다.


브릭헤즈만의 브릭이라하면,

역시나 영롱한 눈동자가 프린팅된 1x1 크기의 동그란 단추 브릭이겠죠?

LDD에서는 같은 프린팅이 없는 관계로, 잠시 믹셀 눈을 빌려왔습니다. 


배트걸의 머리 뒤쪽에는 포니테일 머리가 나와있는데,

그걸 잘 살려줬습니다.


마스크의 귀 부분과 망토를 붙여주면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바람에 날리는 포니테일이 잘 표현되었네요.


41586-bricks.lxf

41586.lxf


Remake 프로젝트 초기 멤버로 활동하고 계신 가루녹차님의 최신 작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31057 에어 블레이저의 브릭들을 활용한 Remake작품으로, 아래의 링크에 가시면 깔끔하게 정리된 PDF버전 인스트럭션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7049/timeremembered/swing-ride/



이렇게 생긴 회전 그네입니다.

의자에 미니피겨를 걸쳐서 태워줄수도 있는 재미있는 작품입니다.


조립과정을 간단히 보시겠습니다.


일단 기둥부터 만들기 시작합니다.


기둥 조립이 완료되었으면, 본격적으로 회전체를 만들어줍니다.


브릭들을 최대한 활용해서 어느정도 대칭형에 가깝도록 만듭니다.


회전축의 장식도 빼놓지 않았습니다.


좌석들을 붙여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놀이기구들과 같이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작긴하네요.. 허허..


왼쪽부터,

10247 페리스휠, 10244 이동식 유원지, 10196 그랜드 카루셀, 그리고 60080 창작품인 스페이스 셔틀 라이드입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도 만들어봤습니다.

으음.. 너무 빠른가요..? 허허..


31057-bricks.lxf



2017년 크리에이터 소박스 제품인 31057 에어블레이저를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크리이에터의 제품 특성상 비교적 간단한 브릭들로 3가지 모델을 만들어볼수 있다는게 큰 매력인데요.

최근들어서는 큰 제품이든 작은 제품이든 다 고유한 멋이 살아있는게 레고인들로서는 축복이 아닌가 싶습니다.


31057 에어 블레이저는 102피스의 소박스 제품이고,

공홈기준으로 14,900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살짝 비싼 느낌이 있긴하지만, 크리에이터 제품은 간혹 폭풍세일도 하니,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31057은 3개의 탈것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번 모델은 헬리콥터,

2번 모델은 수상 비행기,

3번 모델은 요트입니다.

왠지 하늘에서 부터 바다로 옮겨가는듯한 느낌이랄까요..?


브릭 구성은 적절합니다.

활용도 높은 브릭이 몇개 보여서 다양한 Remake작품이 탄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첫번째 모델인 헬리콥터 조립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헬리콥터인데, 양쪽에 날개가 있는 형태라서,

열십자 모양으로 몸통을 잡아줍니다.


슬로프/웻지 브릭을 활용해서 유선형을 잡아줍니다.


길게 뻗은 꼬리날개가 멋집니다.


볼록한 조종석 캐노피를 붙이고 나면, 엔진을 만들어서 붙여줍니다.


프로펠러들을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조가 간단하지만 뒷모습도 멋집니다.



다음은 두번째 모델인 수상 비행기입니다.


길다란 몸통으로 시작합니다.


다음은 날개를 만들어서 얹어줄 차례입니다.


다양한 브릭을 활용해서 제법 튼튼하게 날개를 붙여줍니다.


고리형 브릭을 활용하여, 수상 비행기 하단부의 부유체를 만들어서 붙여줍니다.


프로펠러까지 붙여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간 통통한게 은근 귀엽습니다.



다음은 세번째 모델인, 요트입니다.


선체(?)가 두개 붙어있는 요트입니다.


이런 조립법을 보면, 크리에이터는 브릭활용의 다양성을 배울수 있는 참 좋은 시리즈라는 생각이 듭니다.


요트 중앙 부분인데, 나중에 위쪽에 이는 홀더 브릭에 돛을 붙여줍니다.


웻지 브릭을 활용하여 제법 그럴듯한 돛을 만들어 올려주면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돛의 뒤쪽도 나름 견고하게 조립되어있습니다.


31057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상 비행기가 있어서 가루녹차님의 붉은 돼지 창작품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1057-bricks.lxf

31057-1.lxf

31057-2.lxf

31057-3.lxf

31057-all.lxf


Brickheadz는 2017년들어서 처음 레고사에서 선보이는 제품군입니다.

현재까지는 DC/마블 히어로즈와 디즈니 캐릭터들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네모네모한 2등신 몸매가 매력적인 친구들입니다.


미니피겨 세트처럼 밑판이 있고, 밑판에는 1이라는 숫자가 크게 프린팅 되어있는걸로 봐서,

지금 공개된건 시즌1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마도 마이크로파이터즈 시리즈처럼 시즌제로 쭉쭉 나오겠죠?

레고사와 계약된 캐릭터들은 끝이 없으니까요..


아마도 앞으로, 닌자고나 스타워즈 캐릭터들도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7년 상반기에 공개된 제품은 총 10개인데,

브릭수는 대략 90~140개로 구성되어있고,

가격은 14,900원으로 동일합니다.

스티커가 없는 것도 특징이죠.


그 중에서 오늘 살펴볼 제품은 브릭헤즈 시리즈의 시작을 알리는,

41585 배트맨입니다.


역산 14,900원이고, 91개의 브릭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디자인상으로는 레고 배트맨 무비 시리즈에 나온 캐릭터를 브릭헤즈化한 것 같습니다.


배트맨 답게, 검은색 브릭이 많습니다.

그리고...

브릭 헤즈 시리즈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핑크색 2x2브릭을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시작은 몸통부터 만듭니다.

유틸리티 벨트와 자그마한 손이 귀엽습니다.


머리부분을 만듭니다.

그렇습니다...

저 핑크색 2x2브릭은 바로 두뇌입니다.. 허허..

브릭헤즈 시리즈의 숨겨진 개그포인트랄까요?


커다란 머리를 둘러가며 플레이트 브릭들로 둘러줍니다.


눈을 붙여주고요..

참고로, 배트맨의 눈은 야광색입니다.


귀를 붙여줍니다.

배타랑도 손에 꼭 쥐어주고요.


망토까지 붙여주면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41585-bricks.lxf

41585.lxf


스타워즈 제품인, 6211 임페리얼 스타 디스트로이어(이하 ISD)를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ISD는 스타워즈의 간판급 우주선이죠..


현재까지 총 4개의 제품이 레고에서 나왔습니다.


10030: 2002년에 출시한 UCS입니다. 3,096피스의 거대한 제품이죠. 진짜 큽니다..

6211: 2006년에 출시한 1,367피스짜리 제품이고 이번에 살펴볼 제품입니다. 의외로 크더군요.

8099: 2010년에 출시한 미디스케일 제품입니다. 423피스짜리 제품이고, 진열하기에 적절한 제품인듯 합니다.

75055: 2014년에 출시한 1,359피스짜리 제품이고, 6211보다는 조금 작습니다.


6211은 75055의 선배격 제품으로, 미니피겨와 함께 내부 구조가 잘 표현된 멋진 제품입니다.


LDD에서는 테크닉 브릭(32195) 하나 빼고는 다 찾을수 있었습니다.

ISD답게 플레이트 브릭들이 많습니다.


미니피겨는 다스베이더, 타킨과 함께 스토미, 근위병, 드로이드 2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미니피겨를 만들고 나면, 가장 아랫부분에 들어가는 밑판을 만들어줍니다.


밑판에 간단한 장치(다스베이더 드레스룸?포함)를 붙이고 나서,

테크닉 브릭들로 중앙 부분의 뼈대를 만들어줍니다.


생각보다 각도 맞추기가 힘들더군요. 역시나 실제로 조립할 때는 신경쓸필요가 없는 부분이죠..


중앙 프레임을 연결합니다. 은근히 길이가 맞지않아서 살짝 삽질을 했네요.


뒤쪽 분사구를 만들어줍니다.

조립방법이 나름 특이하더군요.

기체의 중앙 부분에는 탈출포드도 있습니다. (근데 R2D2, C-3PO는 없다는게 함정!)


이제 본겨걱으로 덮개를 만들어서 붙여줍니다.

역시나 각도가 미묘하게 안맞아서 완벽하게 조립이 안되더군요.


앞쪽 코 부분을 따로 달아주고, 위쪽의 넓다란 덮개들을 만들어서 얹어줍니다.


브릭충돌 때문에 각도 조절이 제대로 안되는 관계로, 결합되는 쪽의 테크닉 브릭 몇개를 빼줘야 했습니다.


이제 조타실(?)을 만들어줍니다.

미니피겨 2개를 넣어줄 수 있습니다.

뒤쪽부분은 재미있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뚜껑처럼 열고 닫을 수 있습니다.


조타실 부분과 중앙에 연결되는 뼈대부분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위쪽 추가 덮개 부분을 만드는 중입니다.

나름 브릭 슈터 느낌의 장치들도 있습니다. (빨간 테크닉 브릭 부분)


위쪽 부분을 만들어서 얹어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5055보다 얹어주는게 훨씬 쉽더군요..


앞뒤 동시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밑부분이 잘려있는 형태라서, 마름모꼴의 뒷태가 잘 살아나지 않아서 조금 아쉽습니다..


위쪽 덮개를 제거한 모습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부 공간이 넉넉해서 미니피겨들을 이리저리 배치하면서 놀수 있습니다.


UCS버전인, 10030과 비교 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10030이 정말 큰데, 크기 비교를 해보니, 6211도 은근 꿀리지 않는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비교적 최신 ISD인, 75055와 비교 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211이 얼추 1.5배 커보입니다.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에는 42035 광산트럭, 오른쪽에는 10232 팰리스 시네마입니다.


ISD 총정리편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부터,

809975055, 6211, 10030

입니다.


간단한 연출샷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tud.io에서 불러온뒤 렌더링을 돌렸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LDD2POV-ray변환기보다 편하더라고요.


6211-bricks.lxf

6211.lxf

6211-size.lxf

6211-size2.lxf

6211-size3.lxf

6211-size4.lxf


2017년 상반기 스타워즈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LDD로 작업해본 제품은 조금은 뜬금없게도, 스타워즈 클론전쟁 애니메이션 관련 제품인,

75168 요다의 제다이 스타파이터입니다.

클론전쟁 시즌6(2013년)에 등장했다고 하더군요..


제다이 마스터 요다도 전투기를 운전할줄 안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제품이랄까요?

매체상으로 나온 형태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왠지 TIE시리즈가 떠오로는 동글동글한 모습입니다.

크기는 작지만, 뒤쪽에 아스트로멕 드로이드를 수납해서 하이퍼스페이스 진입도 가능한 굉장한 우주선입니다.



75168 요다의 제다이 스타파이터는 2개의 미니피겨 포함해서 262피스로 구성된 소박스 제품이지만..

마치 라이선스 비용을 최대로 붙인듯한 놀라운 가격, 44,900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반값할인이 제격인 제품이죠.


미니피겨 구성도 단순하고 크지 않은 제품이라서 그런지,

LDD에서 브릭들을 다 찾을 수 있었습니다.


마스터 요다와 함께 우주선 몸통을 만들고 있습니다.

스타파이터 치고는 상당히 독특한 방식으로 조립을 시작합니다.


이까지 조립해도 이게 우주선인지 뭔지 형태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뒤쪽에 로켓 분사구를 붙여주니 저기가 뒤쪽이라는건 알겠습니다..


짙은 녹색으로 몸체를 꾸며주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우주선의 형태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TIE파이터 시리즈를 닮아서 그런지, 조립하는 형태도 TIE 시리즈를 닮은듯 합니다.


중앙 날개랑 캐노피+지붕을 붙여주니 이제 확실히 우주선다워졌습니다.


이제 위아래쪽 날개를 만들어서 붙이려합니다.


위아래로 날개를 붙이고 적절히 꺾어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연출샷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니피겨를 탑승시켜보니, 의외로 실제 스케일이랑 맞네요..


스타파이터 시리즈들을 모아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쪽줄 왼쪽부터,

75092 나부 스타파이터, 75087 아나킨의 스타파이터, 75038 제다이 인터셉터

아래쪽줄 왼쪽부터,

7868 메이스 윈두의 제다이 스타파이터, 75168 요다의 제다이 스타파이터, 75135 오비완의 제다이 인터셉터 입니다.


75168-bricks.lxf

75168.lxf

75168-dp.lxf

75168-starfighters.lxf


2017년 스타워즈 제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일단.. 시작은 소소하게 소박스 제품인 75173 루크의 랜드스피더 부터!


75173은 미니피겨 4개 포함해서 149피스로 구성된 제품입니다.

아무리 미니피겨 4개 포함이라지만, 149에 44,900원에 판매하는건.. 아무래도 너무 비싼듯 합니다.


뭐.. 그런의미에서 먼저 LDD로 살펴보신다면, 구입 결정에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싶습니다.


LDD상으로는 총 3종류의 브릭이 없었습니다.

먼저 미니피겨 터스켄족 머리. 예전에 75081 스카이호퍼에서 처음 등장한 터스켄족 고유 미니피겨머리입니다.

그리고 2017년 신규브릭중 하나인, 둥근 2X2 타일브릭(27925). 어셈블리 스퀘어(10255)에서 처음 등장했죠.

마지막은 21스터드길이(16.8cm)의 플렉스 호스.

셋다 비슷하게 생긴 브릭들로 대체해줬습니다.


루크와 C-3PO로 시작합니다.

설정상.. 루크가 C-3PO를 기름목욕시킨 상태에서 집나간 R2-D2를 찾으러나가는 상황이라,

반짝반짝한 C-3PO가 들어갑니다.


차근차근 랜드스피더를 만들어갑니다. Nougat(누가)색상이 블루렌더에선 참 오묘합니다.


21L플렉스 호스가 바로 랜드 스피더 앞부분 장식에 들어갑니다.

어디 브릭에 결합되는게 아니라, 그냥 휜 상태에서 'ㄴ'자 브릭안쪽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걸려있는 상태입니다.

레고 조립법으로는 상당히 특이한 경우랄수 있죠.

LDD상으로는 20L(16cm)짜리 플렉스 호스가 있어서 그걸로 대신 넣어줬습니다. (장대한 삽질이 있었죠..)


윈드스크린 앞쪽에 신규브릭인 둥근 타일브릭(27925)이 들어가야하는데, 다른걸로 대체해봤습니다.


3개의 엔진들을 붙여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 중앙에 있는 엔진은 마치 뚜껑처럼 되어있어서, 안쪽에 수납공간이 있습니다.


박스샷 보고 비슷하게 연출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LDD로 작업했던 스타워즈 스피더 모음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윗줄 왼쪽부터,

75091 플래시 스피더, 75022 만달로리안 스피더, 75099 레이의 스피더, 75098 호스베이스의 스피더, 10236 이웍빌리지의 스피더.

중간줄 왼쪽부터,

75049 스노우스피더, 8128 캐드베인의 스피더, 75100 퍼스트오더 스노우스피더,

아랫줄 왼쪽부터,

8085 프리코 스피더, 7110 랜드스피더, 그리고 75173 루크의 랜드스피더입니다.




75173-bricks.lxf

75173.lxf

75173-dp.lxf

75173-speeder.lxf

75173-dp.lx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