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나오는 테크닉 제품들을 보면, 전부 42xxx번호로 시작하는데요.
바로 이 시작점이 된 제품이 42000 그랑프리 레이서입니다.
2013년도에 출시한 1,141피스짜리 제품입니다.
소문에 따르면 어느때인가 이 제품을 3만원에 떨이로 처리했다는 괴담도 있죠..
정가는 173,000원이었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0544E5846E23017)
브릭들을 보면, 패널 브릭들도 많고 빨간색, 하얀색 브릭들도 많아서 벌크 확보에 참 좋습니다.
아쉽게도 42000에 들어간 타이어가 LDD에 없었습니다..
첫번째 모델인 F1 레이싱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E8F4E5846E2151A)
독특하게도 초반은 조향장치나 파워트레인이 아닌, 엔진덮개 및 스포일러 조작을 위한 기어들을 만들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2704E5846E21616)
역시나 계속 기어들을 이어붙여줍니다.
트랜스미션도 있고해서 심심하진 않습니다.
나중에 파워펑션 세트를 부착해줄 수도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EAF4E5846E2161B)
이제 드디어 구동부를 만들어줍니다.
잘만하면 RC개조도 가능할것 같긴합니다... (아마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63F4E5846E21720)
F1레이싱카 특유의 '선'을 살려주기 위해 상당히 복잡한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3914E5846E21732)
뒤쪽 구동부와 8기통 엔진을 얹어주고나면,
조금은 독특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파트를 만들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6274E5846E21820)
역시나 앞부분도 상당히 복잡하게 얽히고 섥힌 느낌으로 조립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C104E5846E2182C)
파워트레인 부분 조립을 마치고 나면 이제 본격적으로 외장을 만들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F3E4E5846E21926)
앞쪽 범퍼 부분도 만들어주고 엔진으로 부터 이어지는 파이프도 연결해줍니다.
스티어링 휠도 돌아가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0E24E5846E21B24)
앞쪽 부분을 완성하고 나면, 엔진덮개를 본격적으로 만들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8194E5846E21B04)
엔진덮개부분이 상당히 거창합니다.
마치 42039 24시 레이싱카를 떠올리게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407485846EB9233)
최종적으로는 이런식으로 조립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9DD4E5846E21D1E)
스포일러와 타이어를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진덮개가 완전히 닫힌 연출을 위해 안쪽에 있는 액추에이터를 빼줬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3A64E5846E21F08)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인이 예술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ECA4E5846E21E0A)
기어가 들어간 부분을 따로 빼서 색구분을 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녹색은 스티어링파트.
핑크색은 후륜 구동부와 피스톤
파란색은 엔진덮개와 스포일러 조작부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A454E5846E2211D)
8293 파워펑션 세트 혹은 M모터와 테크닉 배터리박스를 부착해줄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조작은 없고, 엔진덮개와 스포일러 조작을 모터로 해줄수 있습니다.
42039와 더욱더 비슷해지는 부분이죠.
이제 두번째모델인 레이싱트럭 조립과정을 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63C44E5846E22208)
시작은 스티어링 파트 부터!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71A4E5846E22405)
엔진이 앞쪽에 달려있기 때문에 피스톤도 앞쪽에 달아줍니다.
두번째 모델도 엔진덮개와 스포일러 조작이 트랜스미션 기어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역시나 기어파트를 만드는중.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5F84E5846E22412)
엔진쪽에서 이어지는 파이프도 붙여주고,
엔진덮개 기믹용 액추에이터를 붙여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2254E5846E22520)
후륜 구동부에서 이어지는 동력을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상당히 독특합니다.
그 옆으로는 트랜스미션 기어들이 보이고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C8F4E5846E2260D)
드디어 후륜 구동부 조립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7C14E5846E2272F)
하얀색 기둥은 스포일러 지지대입니다.
그 옆으로 보이는 액추에이터가 그 위로 연결되는 스포일러에 연결되어서 스포일러 틸트 조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제일 왼쪽에 보이는 빨간색 원통 브릭은 바로 이 스포일러와 엔진 덮개 개폐 기믹을 위한 동력 공급용(?) 핸들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D154E5846E22728)
이런식으로 스포일러를 연결해줍니다.
스티어링용 핸들도 약간 독특한 위치에 부착되어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5BC4E5846E22813)
운전석을 만들어줬습니다.
왠지 테크닉 피겨도 잘 얹어줄수 있을것만 같습니다.
그리고 다음에는 엔진덮개(보닛)를 만들어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39044E5846E2292D)
은근히 브릭이 많이 들어가는데다 LDD조립면에선 힌지툴 노가다도 들어가기 때문에 살짝 까다로운 부분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2A14E5846E22A09)
나머지 외장들과 타이어를 부착해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두꺼운게 매력이라면 매력일까요?
외형은 조금 투박하지만, 테크닉 조립면에서는 상당히 재미있는 모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C844E5846E22C1C)
앞뒤 동시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AA24E5846E22B2B)
역시나 주요 기믹들을 따로 빼내어 색을 입혀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녹색은 스티어링.
핑크색은 후륜구동부와 피스톤. (꽤나 복잡하게 연결된게 매력이죠)
파란색은 엔진덮개와 스포일러 조작부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0BE4E5846E23018)
1,2번 모델 동시 렌더링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나는 길고 납작한 매력이, 다른 하나는 통통한 매력이 있어서 좋습니다.
게다가 두 모델 모두 기믹들이 잘 살아있고 각자의 멋이 잘 살아있다는게 42000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8DA4E5846E23410)
42039 24시 레이싱카의 A모델과 비교해봤습니다.
1천피스 조금 넘는 제품치고 상당히 덩치가 있는 편이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60A3C58474C341E)
42009 모바일크레인mk2를 동원해서, 테크닉중에서 길다는 친구들 이랑 비교해봤습니다.
크레인 붐대까지 치면 42000이랑 42009랑 길이가 비슷하긴 하군요.
42039보다는 42000이 조금 더 길고요.
42000-bricks.lxf
42000-1.lxf
42000-2.lxf
42000-all.lxf
42000-size1.lxf
42000-size2.lxf
42000-size1.lx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