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닉 풀백모터 시리즈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13년도의 제품중 하나인,

42011 레이스카입니다.


총 158피스로 구성되어있고, 국내에서는 온라인 32,000원, 오프라인에서는 2만원 중반대에 판매했습니다.

제품의 외형은 코가 짧은 붉은색의 레이싱카입니다.


역시나 이번에도 (가짜) 풀백모터를 브릭 리스트에 넣어봤습니다.


수평으로 풀백모터를 위치시키고 앞쪽으로 차량의 기본 프레임을 붙여나갑니다.


옆구리 부분에도 살을 붙이는 중입니다.

확실히 현세대 풀백모터의 초기 제품이다보니, 튼튼함 보다는 외형 중심의 디자인이 느껴지는 듯 합니다.


앞쪽 부분에 유선형 덮개를 만들었습니다.

플렉스 호스를 사용해서 앞부분을 표현했는데, 결합이 그리 튼튼해 보이진 않아서,

아마도 풀백 모터로 달려가다 어디 부딪히면 앞쪽이 확 들리거나 플렉스 호스 부분이 빠질것 같더라고요.


운전석과 스티어링휠 부착 후에는 옆구리에 곡면 패널 브릭으로 외장을 완성합니다.


뒤쪽의 6기통 엔진 표현와 타이어를 붙여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 테일램프나 스포일러 표현은 좋은데, 과연 튼튼할까 싶습니다..


42010 오프로드 레이서와 함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둘다 브릭수는 비슷한데, 42010이 더 커 보이는군요.


42011-bricks.lxf

42011.lxf

42011-size.lxf


테크닉 풀백모터 시리즈를 계속 살펴보고 있었죠.


이번에는 현세대 풀백모터의 시초가 되었던,

2013년도의 풀백 모터 제품들을 살펴볼까합니다.


그중 첫번째인, 42010 오프로드 레이서입니다.

파란색의 버기카 컨셉의 제품입니다.


2013년에 32,000원에 출시했으며, 오프라인에서는 2만원 중반대에 판매한듯 합니다.

총 160피스로 구성되었으며, 결합모델에서만 사용하는 브릭이 추가로 들어있습니다.


브릭 구성이 지금 나오는 풀백 모터 제품답지 않게, 경량화나 튼튼함을 강조하는 느낌이라기 보다는,

소형 버기카에 풀백 모터를 끼워넣은 듯한 구성이랄까요?

그나저나.. 가짜로 만든 풀백 모터 브릭 뭉치는 계속 디자인이 조금씩 바뀌는군요..

초반에 만든 버전은 브릭들이 다 결합된 한 덩어리였는데.. 이제는 그냥 겉보기 모양만 유사한 정도네요..



아무튼,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풀백모터를 사선방향으로 꺾어서 달아주는군요.

바로 다음해에 나온 42027 사막 레이싱카와 거의 동일한 느낌입니다.


일반적인 버키카 느낌이 강하게 드러나는 구조입니다.

특히나 옆구리에 보면, 둔각으로 꺾인 테크닉 커넥터 조합으로 만들어진 가이드가 보이는데,

풀백모터 제품의 특성을 생각하자면, 쉽게 빠져버릴 구조라서 좀 불안합니다.


차량 보닛 부분과 운전대 장착 완료.


차량의 뚜껑 과 옆쪽 문을 만들어서 달아주는 중입니다.

빨간색 운전석도 만들었습니다.


바퀴들과 스포일러까지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 부분도 조금 부실해보이긴 하지만, 디테일은 꽤나 좋은편입니다.


42010-bricks.lxf

42010.lxf


철지난 테크닉의 LDD 리뷰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11년 제품 라인업중에서 2번째로 작은 제품인,

8066 오프로더입니다.

총 141피스로 구성되어있고,

1번 모델은 지프형으로 생긴 오프로드 트럭이고,

2번 모델은 사막 레이싱카(듄 버기)입니다.



LDD상으로 브릭들은 다 있었습니다. 소형 제품임에도 서스펜션 스프링이 들어간게 특징입니다.

브릭구성은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1번 모델인 오프로더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은 조향장치를 꾸미는 중입니다.

사실 이 제품의 기믹이라는게 서스펜션 스프링 부분을 제외하곤 조향장치 하나밖에 없다고 해도 될정도로 간단하긴 합니다.

조향장치는 소형 제품답게, 수평기어 방식이 아니라 캠 방식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서스펜션에 의한 구동축(조향장치 부분)의 꺾어짐 때문에 뒤쪽으로는 유니버셜 조인트가 들어갑니다.


서스펜션 스프링을 장착했습니다.

독특한 각도 때문에, 서스펜션 스프링은 '금단의 기술'을 통해 길이를 조절했습니다.


뒤쪽으로는 조향장치용 기어들을 배치했고, 앞쪽으로는 운전석과 보닛, 범퍼까지 장착했습니다.


운전석을 하나 더 조립하고, 차량 뒷부분을 더 보강했습니다.


타이어들을 달아주면 완성!


조향장치 부분을 좀더 강조해서 렌더링해봤습니다. 기묘하지만, 구조 자체는 간단합니다.

조향장치용 특수 브릭들이 들어가지 않은게 매력포인트.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밸런스가 잘 잡혀있습니다.



다음은 2번 모델인, 듄 버기의 조립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2번모델은 총 118개의 브릭들이 활용되었고, 브릭 활용율은 대략 84%입니다.


시작부터 뭔가 복잡한 구조로 시작하긴하는데,

듄 버기는 조향장치가 없는 간단한 구조라서, 왠지 '레이서즈' 제품 느낌이 좀 있습니다.


뭔가 높이 높이 연결되는 중이긴 한데,

실제로는 차량을 세워서 조립하는 것 입니다.


이제서야 제대로 된 방향으로 눕혔습니다.


뒤쪽에는 스포일러겸 브레이크등을 달았습니다.


타이어를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모양은 그럭저럭 괜찮은데, 기믹이 너무 단순해서 아쉽습니다.


1,2번 모둠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외로 2번 모델이 크더군요. 그만큼 좀 허술할 것 같긴합니다.

그래도 종합평가를 하자면 1번 모델이 더 좋은듯 하네요.


8066-bricks.lxf

8066-1.lxf

8066-2.lxf

8066-all.lxf


철지난 스타워즈 제품들을 LDD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08년에 출시한,

7673 마그나가드 스타파이터입니다.

총 431피스로 구성된 중형제품이고,

스타워즈 에피소드3에 나왔던 그리버스 장군님의 호위 드로이드인 '마그나가드'가 2개 들어있습니다.

북미에서는 44.99USD에 판매한듯 하며, 국내에서는 65,000원에 판매한듯 합니다.

브릭수 431개를 생각하면 역시나 가성비가 상당히 안좋은 제품이랄수 있겠네요.. (게다가 10여년 전에 그 가격!)


LDD상으로는 마그나가드의 머리가 없었습니다.

너무나도 고유한(?) 브릭이라 그런지 없는게 당연..


그럼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마그나가드는 대충 비슷한 로봇 머리를 붙여서 마무리 하고,

바로 기체 조립으로 들어갑니다.

기체 중앙부에 보이는 관절 브릭은 왜들어갔는지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허허..


중앙에 조종석을 만들고, 양쪽 날개(?) 부분을 조립해서 붙입니다.

날개 덩어리를 만든뒤 테크닉 핀으로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양쪽 날개를 완성했으면, 날개 끝에 있는 엔진 부분을 만들어서 붙입니다.

2X 조립구간이라 LDD에서도 같이 조립했습니다.


양쪽 날개 끝 부분의 뼈대를 잡고나면 이제 살을 붙여나갈 차례입니다.

참고로, 기체의 뒤쪽 부분에 미사일 수납용 덮개가 있는데,

LDD상으로는 연결해주는 팔 부분이 제대로 조립되지 않는 관계로 덮개부분을 공중부양해놨습니다.


플레이트 브릭 위에 장식들을 얹고 나서 옆구리 부분에 턱턱 붙여나갑니다.

그와중에 캐노피 부착.


엔진의 옆구리 부분을 계속 조립해서 붙여나갑니다.


아무튼 완성.. 

엔진 위쪽에 있는 길다란 H자 브릭은, 실제로는 잘 휘어지는 브릭이라 앞쪽 아래쪽으로 연결해서,

마치 노출된 전선처럼 조립하는데, LDD상으로는 그렇게 하지 못해서 좀 아쉽습니다.


그리버스의 소울리스(8095)와 같이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크기는 마그나가드 스타파이더가 더 크군요..


7673-bricks.lxf

7673.lxf

7673-size.lxf


테크닉 풀백모터 시리즈의 LDD리뷰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14년도 풀백모터 세트인,

42026 블랙 챔피언 레이서와 42027 사막 레이싱카의 결합모델,

레이싱 트럭입니다.


42026의 브릭이 137개이고,

42027의 브릭이 148개이니 합치면 285피스인데,

해당 결합모델에는 총 251개의 브릭이 사용되어서,

대략 88%의 브릭들을 활용하는군요.


실물 조립 리뷰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7392739


두개 제품의 브릭들을 모아놨습니다.

은근 많습니다. 물론 2016년도 풀백모터 세트들이 훨씬 더 많긴 합니다만..


조립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개의 풀백모터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시작합니다.


사실상 앞부분만 거대한 트럭이라서..

앞부분 조립이 상당부분을 할애합니다.


운전석과 앞쪽 덮개를 만들고 있습니다.

트럭이라도, 레이싱 컨셉이라 좌석이 왼쪽 부분에 하나만 있습니다.


패널 브릭들을 다 끌어모아서 차량 운전석 부분을 만들고 있습니다.


앞부분은 42027의 브릭들을 끌어와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라임색입니다.


뒷부분의 스포일러를 만드는 중입니다.

바로 이 스포일러에 들어가는 웜기어가 42026과 42027에서 남는 그 브릭입니다.


스포일러와 바퀴들을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뒷부분이 휑한게 흠이라면 흠이죠..


결합모델의 베이스가된 42026 블랙챔피언 레이서와 42047 사막 레이싱카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느낌'의 결합모델인점은 좋은데, 모델 자체의 디자인은 조금 아쉽습니다.


2014~2017 풀백 모터시리즈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26+42027-bricks.lxf

42026+42027.lxf

42026+42027-size1.lxf

42026+42027-size2.lxf


테크닉 풀백모터 LDD 리뷰는 계속됩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14년 풀백 모터 세트 중 하나인,

42027 사막 레이싱카입니다.


개인적인 취향은, 42026 블랙 챔피언보다는 42027쪽입니다.. 허허..

풀백모터 제품이지만, 앞쪽에 기어가 달려있는 윈치가 있는게 매력포인트입니다. (근데 갖고 놀다보면 자주 빠지는게 함정)


실물 조립 리뷰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7581876 (42026 조립리뷰와 같이 있습니다)


역시나 이번에도 LXF파일에 가짜 풀백 모터 브릭 뭉치를 넣어놨습니다.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차량의 기본 프레임과 함께 풀백모터를 준비합니다.


42047 폴리스 인터셉터처럼, 풀백모터를 사선으로 부착합니다.

운전 좌석도 보이고, 앞쪽에는 윈치도 달았습니다. 끈길이가 50cm짜리라서 은근 길죠..


풀백모터를 덮어줍니다.


앞쪽에는 머슬카 느낌의 엔진 흡기구가 보입니다.

뒤쪽으로도 거대한 배기구가 있습니다.


나머지 차량 외부 장식과 타이어를 달아주면 완성!

실제 조립해보면, 운전석 위쪽의 차량 뚜껑 부분을 살짝 들어올릴수 있습니다.

스케일은 맞지 않지만, 미니피겨도 얹어줄수 있죠.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26 블랙 챔피언 레이서와 함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너스 사진.

미니피겨가 들어간 실물 사진입니다.


42027-bricks.lxf

42027.lxf

42027-size.lxf


최근 테크닉 풀백 모터 시리즈들을 쭉 살펴보고 있죠.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14년도 풀백 모터 제품중 하나인, 42026 블랙 챔피언 레이서입니다.

풀백모터 하나 포함하여 총 137피스로 구성되어있으며,

국내에서는 오프라인기준으로 2만원 중후반대에 판매했던 것 같습니다.


현재 저희 집에 보유하고 있는 풀백 모터 제품입니다.

실물 조립 리뷰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7581876


LDD상으로 없는 풀백모터를, 이번엔 아예 브릭 배열LXF파일에 넣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좌측 상단에 보이는 길다란 플렉스 브릭 3개는..

LDD상으로는 휘어지지 않는 관계로, LDD 조립할때는 다른걸로 대체했습니다.



아무튼 조립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길다란 F1형태의 차량이다보니, 길게길게 조립합니다.


뒤쪽의 스포일러와 스티어링 휠을 달았습니다.


문제의 주름 튜브.. LDD에서 꺾이긴 하는데, 꺾이는 각도가 실제 조립해야하는 각도만큼 나오지 않아서,

그냥 짧은것 두개를 붙였습니다. 한 20미터 뒤에서 보면 비슷해보일듯 합니다. (허허)


뒤쪽 엔진 덮개와 운전좌석 조립.


타이어와 플레스 브릭으로 마무리하면 조립 완료!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42026과 42027은 결합 모델을 위한 추가 브릭이 들어가 있는게 특징입니다.

짙은 황토색 액슬빔(4L)과 까만색 웜기어가 바로 추가 브릭.

42027에도 똑같은 조합으로 들어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DD에서는 스티커가 없어서 좀 밋밋한데,

실제로 만들어보면, 은근 멋있습니다.


42026-bricks.lxf

42026.lxf


철지난 스타워즈 제품 LDD리뷰입니다.


최근에 LDD로 75192 밀레니엄팔콘을 작업한 이후에,

한동안 스타워즈 제품은 LDD 작업할 엄두가 나지 않았는데,

중형 올드 제품들을 보고 있자니, 다시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군요.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2006년도에 출시한,

6208 B-윙 파이터입니다.


총 435피스로 구성된 중형 제품이며,

미니피겨는 저항군 B윙 파일럿과 Ten Numb이라는 Sullustan족 저항군 파일럿이 있습니다.

원래는 에피소드6; 제다이의 귀환에서, B윙 파이터 조종석에 탑승한 씬이 있었다고 하는데 삭제되었다고..

Sullustan족 출신으로는,

에피소드6 엔도 전투에서 랜도 칼리지안과 같이 밀레니엄 팔콘에 탑승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던,

Nien Nunb이 있습니다. (깨어난 포스에도 출연하셨다고..)


제품 설명을 좀 더 하자면,

기본이 되는 B윙과 B윙을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후에 나온 75050 B-윙 파이터에서는 찾아볼수 없는 거치대가 있다는게 핵심. (Nien Nunb는 75050에도 들어있습니다)


LDD상으로 모든 브릭들을 다 찾을 수 있었습니다.

살짝 올드 느낌이 나는 브릭구성이죠..


그럼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윙 기체의 중심부 부터 조립합니다.

중앙 부분에 테크닉 브릭들로 구성된 길다란 밀대 부분은 미사일 발사를 위한 장치입니다.

원래는 중앙 부분에 고무줄이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당시만 해도 스프링슈터가 제대로 없어서 그런지.. 일반브릭들을 활용해서 발사장치를 꾸몄습니다.


조립한걸 대략 덮어주고, 나머지 장식들을 붙여서 완성합니다.


다음은 날개들을 만들어서 붙일 차례죠.

역시나 특별한 디테일 없이, 엣지 플레이트와 곡면 브릭들을 활용하여 빠르게 날개를 구성합니다.


오른쪽의 날개 3개를 만들어 붙이는중.

위쪽과 아래쪽에 있는 접히는 날개들은 힌지브릭으로 간단히 붙여줍니다.


다음은 제일 굵은(?) 부분인 조종석+연결부 조립중.


6208의 조종석도 다른 B윙들과 마찬가지로 빙글빙글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B윙을 완성했으면, 거치대 제작!


거치대까지 만들었으면 완성됩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거치대 위에 있는 모습을 연출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름 스타워즈는 좀 안다고 생각했었는데, B윙을 저렇게 거치하는건 몰랐네요.. 허허..

아직도 공부가 많이 필요한듯 합니다.


다른 B윙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왼쪽에 보이는 큰 녀석은,

UCS버전인 B윙(10227)이고,

제일 오른쪽에 기울어져 있는 녀석은,

75050 B윙입니다.


6208이랑 75050은 거의 같은 크기이군요.

그렇다면, 6208의 거치대랑 잘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75050에 거치대를 넣어주지 않은 것은 6208의 거치대를 직접 만들어 쓰라는 의미..?


6208-bricks.lxf

6208.lxf

6208-double.lxf

6208-size.lxf


최근에 LDD로 작업했던,

42046 겟어웨이 레이서와 42047 폴리스 인터셉터가 있었죠.

이 두 제품의 결합모델인 익스트림 폴리스 레이서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42046의 브릭수는 170피스이고,

42047은 185피스이니 합치면 355피스인데,

결합모델에서는 총 286피스를 사용합니다.

대략 81%정도의 브릭을 활용합니다.

브릭 활용율은 2015년도 풀백 모터 제품의 결합 모델보다 조금 떨어지는데,

절대적인 브릭숫자는 더 많으니 뭐.. 괜찮습니다..


42046 겟어웨이 레이서와 42047 폴리스 인터셉터의 브릭들을 한번에 나열해봤습니다.

깜빡하고 '가짜' 풀백 모터를 추가하지 않았군요.. 허허..


일단 조립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초반부터 2개의 풀백모터를 시작으로, 차체를 키워나갑니다.


뒤쪽에는 강력하게 보이는 배기구와 브레이크등이 있습니다. (아니면 그냥 빨간색 점멸등일지도..)


아주 빠른 경찰차라는 컨셉인지 무려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F1 차량을 닮은 범퍼가 인상적입니다.


운전석은 풀백모터 곡면으로 대체..


앞쪽 바람 덮개(?)도 덮었고,

뒤쪽에는 하늘을 향하는 엔진 배기구도 보입니다.


앞쪽과 뒤쪽에 타이어를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왠지 SF적인 느낌이 있어서 독특합니다.

인터넷에서 사진으로만 봤을때는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LDD에서 이리저리 돌려가며 살펴보니, 꽤 괜찮은 디자인더라고요.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신발처럼 보이기도 하는군요.. 허허..


결합모델의 재료들과 함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까만차량은 42046 겟어웨이 레이서이고 중앙의 하얀차량은 42047 폴리스 인터셉터입니다.


2015년과 2017년도 풀백 모터 제품들과 함께 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기준으로 왼쪽에 보이는 제품들은,

아래쪽부터,

42033 레코드 브레이커, 42034 익스트림 쿼드 바이크, 결합모델인 익스트림 오프로더이고,

오른쪽에 보이는 제품들은,

아래쪽부터,

42058 스턴트 바이크, 42059 스턴트 트럭, 결합모델인 파워레이서입니다.


2016년도까지는 잘 나오다가, 2017년와서 갑자기 다운그레이드 된 느낌이 강하게 드는건 착각일까요.. 허허..



42046+42047-bricks.lxf

42046+42047.lxf

42046+42047-size1.lxf

42046+42047-size2.lxf


지난번 LDD로 작업했던 겟어웨이 레이서(42046)에 이어서,

짝으로 나온 제품인 42047 폴리스 인터셉터 또한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42047은 42046과 마찬가지로 2016년도 제품이며,

공홈기준으로는 29,900원에 판매중이고,

현재까지 나온 풀백모터 시리즈 중에서는 가장 브릭수가 많은 185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경찰차량 컨셉입니다.

42046과 결합하여 익스트림 폴리스 레이서라는 또다른 모델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185피스답게 브릭수가 많아보입니다.

라임색 휠도 매력포인트.


조립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차체에 풀백모터를 45도 각도로 꺾어서 부착합니다.


리프트암 브릭들을 활용해서 튼튼해보이는 보닛도 만들었습니다.


경찰차량이라는 표시인, 빨간색+파란색 경광등을 달고나면,

옆구리 부분을 보강합니다.


뒤쪽에는 간단하게 수납공간도 표현되어있습니다.


거대한 타이어를 달아주면 지프형 경찰자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6년 풀백모터 시리즈 풀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까만차량은 42046 겟어웨이 레이서입니다.

흑과 백의 대조가 확실하죠.


42047-bricks.lxf

42047.lxf

42047-size.lx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