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철지난 제품을 Studio로 작업해봤습니다.

 

나름 명품이라 평가받았던 제품인, 8653 '엔초 페라리' 입니다.

원래 제품명에는 1:10이라는 스케일 정보가 있죠.

 

2005년에 출시했고, 총 1,360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미국에서는 99.99USD, 국내에서는 190,000원에 판매해서,

아마 출시 당시 국내 가격에 엄청난 거품이 끼었다는 이야기를 듣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해당 제품은, 지금은 사라진 테마인 '레이서즈'에서 나왔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테크닉'기반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거의 99%에 해당하는 브릭들이 테크닉 전용 부품들이니까요. 허허.

 

그래서 요즘은 볼수 없는 댐퍼 브릭도 들어있습니다.

Bricklink 기준 파트번호 76320c01이고, 2개 들어있습니다.

파트디자이너로는 두개로 나눠놨습니다.

32181c02-cylinder.part
0.00MB
32181c02-shaft.part
0.00MB

 

 

그럼 바로 조립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뼈대입니다.

요즘 테크닉과는 다르게,

약간 시스템 브릭 느낌의 설계가 느껴집니다.

 

초반부터 에어댐퍼 브릭이 양쪽으로 들어가는데,

나중에 윙도어와 연결되어서, 열고 닫을 때 독특한 느낌이 있다고 합니다.

앞쪽 바퀴에는 시스템브릭과 혼합된 형태로 조향 파트가 설계 되어있습니다.

아쉬운 점이라 하면 서스펜션 스프링이 없다는것?

뭐. 괜찮습니다. 엄밀히 분류하자면, 테크닉은 아니니까요.

 

뒷바퀴 부분에는 디퍼렌셜 기어가 들어갑니다.

링크 브릭으로 뒷바퀴 축 부분이 연결되어있지만 그냥 장식에 가깝습니다.

원래는 서스펜션 스프링과 연계되는게 보통이죠.

 

V12 엔진도 얹었고, 운전석도 만들어 넣었습니다.

빨간색 브릭이 조금씩 늘어가니, '페라리'라는 느낌이 나오고 있습니다.

 

담장 브릭을 활용한 독특한 느낌의 후미 부분입니다.

테일 라이트 부분은 조금 아쉬운 디자인.

 

엔진덮개를 완성하고 이 단계에서 바퀴를 붙입니다.

그리고 윙도어를 한짝씩 만들어서 붙입니다.

 

보닛 부분까지 만들어 붙이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에서 본 모습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비율이라든지 묘사가 상당히 좋습니다.

 

더블샷.

엔진덮개도 열리고 보닛도 열어볼수 있습니다.

윙도어는 사선 방향으로 열리는데, 초반에 설명했듯 에어댐퍼와 연결되어있어서,

문짝 손잡이 바로 뒤쪽에 있는 레버를 살짝 뒤로 당기면,

우산 펼쳐지듯 스르륵 올라가는 독특한 느낌이 있습니다.

 

주요 작동 부분 강조샷입니다.

뒤쪽에 엔진이 있다는 것을 잘 구현한 제품인만큼,

디퍼렌셜 기어로 연결되는 부분도 간단합니다.

조향 기어도 나름 단순한편.

윙도어에 들어가는 댐퍼는 리프트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테크닉 제품과의 모둠샷.

 

42143 페라리 데이토나 SP3: 우측 상단. 2022년 플래그십 페라리입니다. 모델/비율/디자인 방향 모든게 다르지만, 그래도 같은 페라리 패밀리입니다.
42156 푸조 9X8 24시 르망 하이브리드카: 좌측 상단. 2023년 대형 차량 제품인데, 8653과 같은 1:10 비율이라 가져와봤습니다.

확실히 2005년도의 감성과 2023년도의 감성은 많이 다르지만, 둘다 멋지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허허..

 

 

 

8653.io
1.56MB
8653-double.io
2.41MB
8653-size.io
4.89MB

 

은근 장수만세 시리즈 중에, 레이서즈가 있죠.

 

브릭셋에서 카타고리 검색을 해보면,

http://brickset.com/sets/theme-Racers

 

1998년부터 2013년까지 248개의 제품이 검색됩니다.

레이서즈 시리즈는 생각보다 스펙트럼이 넓은데요.

리모콘조작 제품부터 고유한 미니피겨가 포함된 제품, 그리고 8461 윌리엄스팀 같이 엄청난 제품도 있습니다.

 

그중에서, 이번에는 리브리커블 돌아다니다가 눈데 들어온,

8649 Nitro Menace(2005년)를 작업해봤습니다.

굳이 직역하자면, '니트로 위협'이 되겠군요..

 

근데, 정작 LDD에는 나름 핵심 부품인, 공기 흡입구 브릭(46452)이 없습니다.

바로 요것.

 

왠지 매드맥스가 떠오르기도 하고.. 입으로 가솔린을 분사해야할것 같기도 하고요..

 

결국 LDD 작업할때는 비슷한 브릭으로 대체해줬습니다.

 

특히나 이 제품을 작업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역시나 플렉스 튜브들을 적절하게 꼬아주는 것이었죠.

4.3.9 버전오면서 꽤나 많은 튜브들이 플렉스툴로 가능하도록 변환되었으나..

그래도 안되는 브릭은 있더군요.

 

아무튼..

이 당시 테크닉 제품군의 추세(?)답게 내부가 훤히 드러나 보이는 디자인+플렉스 튜브들로 외곽 프레임을 달아주는 디자인을 따르고 있어서,

나름의 멋이 살아 있습니다.

 

대신 테크닉 라인이 아닌, 레이서즈 라인이라서, 한가지 모델밖에 없고,

스티어링 조작을 제외하곤 별다른 기믹이 없습니다.

테크닉 라인이었다면, 가짜 피스톤이 돌아가는 엔진이라도 넣어줬겠죠..

뭐.. 그래도 외형이 예뻐서 봐주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크기 비교를 위해서,

만번대 차량들과 비교해봤습니다.

미니쿠퍼(10242)보다 크고, 비틀(10187)과 은근 비슷한 크기이군요.

 

역시나 LXF파일과 렌더링샷 올려봅니다.

 

좋은 밤 되시길 바랍니다.

 

 

8649-bricks.lxf
0.04MB
8649.lxf
0.13MB
8649+10187+10242.lxf
0.23MB

정말 오랜만에 레이서즈 제품을 LDD로 작업해보는군요.


레이서즈는 자동차에 특화된 테마이지만,

상당히 다양한 제품군들을 넘나들며 제품이 나왔습니다.


크리에이터 형식의 일반 브릭으로 구성된 제품도 있었고,

페라리 같은 라이선스를 받아서 실제 차량이 모델이 된 경우도 있었고,

테크닉이라고 해도 될만큼 다양한 기믹을 갖고 나온 제품도 있었습니다.


그중에서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현세대 테크닉의 풀백 모터 제품의 전신이라고 할수 있을정도로 테크닉과 닮아있습니다.


8166은 2017년 테크닉 풀백 모터 제품과 같이, 점프대에 사용하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 들어있습니다.

당연히 LDD에는 없었지만, 그것을 제외하곤 모든 브릭들을 다 찾을 수 있었습니다.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올드테크닉 느낌이랄까요? 테크닉 브릭을 사용해서 몸통을 만들어줍니다.

차량 중심부에는 고무줄 장치가 되어있어서 나중에 날개를 펼쳐줄 때 활용됩니다.


곡면브릭과 테크닉 패널 브릭을 활용해서 차량을 어느정도 마무리합니다.


넓다란 타일브릭을 활용해서 점프대를 만들었습니다.

점프대 위로 있는 철봉(?)은 나중에 차량 중앙에 보이는 막대기와 부딪히는데,

차량의 막대기가 부딪히면 고무줄로 인해 날개가 펼쳐지는 기믹을 선보입니다.


접이식 차량 발사대까지 만들어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연출샷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작동영상을 보고 싶은데, 오래된 제품이라 그런지 안보이더라고요..


8166-bricks.lxf

8166.lxf

8166-double.lxf


레이서즈 제품을 다시한번 작업해봤습니다.

역시나 레이서즈 제품의 단골 가게(?)인 페라리입니다.


8671은 페라리 F430 스파이더를 1:17 비율로 재현한 제품입니다.


페라리 F430 스파이더는 이렇게 생겼더군요..

얼마전 작업했던 8143 F430과 거의 동일하게 생긴것 같습니다.. 지붕 유무..?


8671은 2006년도에 출시한 제품으로, 559피스짜리 중형 제품입니다.

물론 크기는 1:17답게 작지 않습니다.


페라리하면 빨가색! 그래서 빨간색 브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빨간색과 까만색이 많은 관계로 라이팅 옵션을 달리하여 렌더링했습니다.

8671은 크기나 디자인이 8143과 많이 닮았지만, 세부적인 부분은 다릅니다.

8143에는 레버로 차량을 살짝 들어주는 기믹이 있었지만,

8671에는 지붕이 없어서 그런지 내부 좌석부분의 디테일이 올라갔습니다.


2인승 좌석이 멋있습니다.

곳곳에 스티커가 들어가는것도 레이서즈 시리즈의 특징이랄까요? (그 스티커 범벅을 최근에는 스피드 챔피언즈가 이어가고 있죠)


바퀴 부착이나 옆구리 붙이기는 8143과 비슷합니다.



엔진도 거의 유사합니다.



역시나 기본적으로 F430이라는 모델명을 공유하기 때문인지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


머그를 활용한 테일램프 표현도 동일.


보닛과 타이어, 앞유리 프레임을 붙여주면 완성됩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8143이 8671보다 한해 늦게 나온 모델이라 그런지,

8143이 8671을 닮았다고 하는게 더 정확한 표현일듯 합니다.


지금까지 LDD로 작업했던 페라리 제품들을 모아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부터, 

8652 엔초 페라리,

8143 F430.

8671 F430 Spider

10247 F40

이렇습니다.



8671-bricks.lxf

8671.lxf

Ferraris.lxf


또한번 레이서즈의 페라리 제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8143 페라리 F430은 2007년도에 출시한 레이서즈 계열 제품으로,

두가지 색깔의 페라리 F430을 만들어 볼수 있는 독특한 제품입니다.

비율은 1:17이고, 각각의 색상별로 엄청난 양의 스티커가 동봉되어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스피드챔피언즈에 버금가는 스티커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인스트럭션 상으로는, 1번+2번 봉다리를 합치면 빨간차량을, 1번+3번 봉다리를 합치면 노란차량을 만들수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이 제품의 총 브릭수는 690피스라고 되어있는데,

차량 자체의 브릭수는 508피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노란색과 빨간색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본의아니게 색상 배치가 독일 국기가 되었군요.. 아임쏘리 이태리)

살짝 아쉽게도, 휠커버 브릭은 정확한 브릭 번호로는 없었는데, 나중에 비슷한 브릭으로 대체해주긴 했습니다.



첫번째로 빨간 차량 조립과정을 보겠습니다.

기본 조립과정은 크리에이터에 가깝다고 할수 있습니다.

중간에 테크닉 브릭조합으로 뭔가 레버같은게 들어가는걸 볼 수 있습니다.


빨간색 좌석을 만들어주고, 뒤쪽과 옆쪽으로 살을 더 붙여줍니다.

추측컨데.. 테크닉 브릭으로 조합되는 레버는, 아마도 레이싱에서 차량 정비를 위해 들어가는 '핏스탑'에서,

타이어 교체가 쉽도록 차량을 들어주는 장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노란색 레버를 앞쪽으로 밀어주면, L자 브릭이 밑으로 쑥 나오면서 차량이 살짝 들립니다.


앞쪽과 옆구리를 열심히 채워주는중.


운전석을 달아줬습니다. 특유의 곡선 브릭을 사용해서 앞쪽 펜더도 만들어줬습니다.


검은색과 빨간색의 조합으로 멋진 뒷태가 완성됩니다.

머그 브릭을 저렇게 활용하는게 참신하더라고요.


페라리가 자랑하는 V8엔진을 만들어서 얹어줬습니다. V8! V8!


빨간차량 완성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역시나 스티커가 없으니 좀 많이 허전하군요..


앞뒷면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진만 따로 꺼내봤습니다.



이제 노란차량 조립.

뭐... 빨간차량이랑 색깔만 다르고 조립은 동일합니다.


역시나 마찬가지...

빨간브릭대신 노란브릭을 조립해주면 되는거죠..


하지만 의자만큼은 또 빨간색!!


나머지 조립법도 동일합니다.


노란색+검은색 뒷태도 나름 괜찮습니다.


앞에서 보는 것 만큼은 노란색도 잘 어울립니다.


노란차량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역시나 앞뒷면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빨간차와 노란차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뭐랄까요.. 좀 날로먹는 느낌도 듭니다..

아니면, 두 박스를 사서 동시에 차량 두개를 진열하라는 사악한 레고사의 계략일지도 모르고요..


페라리 패밀리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652 엔초페라리 1:17모델이랑, 10248 F40이랑 비교해봤습니다.

문득 10248의 비율이 궁금해지는군요..

8652랑 8143의 비율은 같기 때문에 어느정도 어울리는데, 10248은 조금 커보인달까요..?


8143-bricks.lxf

8143-1.lxf

8143-2.lxf

8143-all.lxf

8143-size.lxf


레고 위키아에서 레이서즈(Racers)라는 테마로 검색을 해보면,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나온 차량 세트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브릭셋에서 검색해보면, 총 248개의 제품이 나옵니다.

그중 부품이나 합본제품들을 빼도 대략 200개정도는 되겠군요.


이 테마의 특징이라하면, 미니피겨가 없고, 무선조종(RC) 제품들도 제법 있고,

유명 자동차 회사/팀과 라이선스도 팍팍 맺고 제품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지금은 박스제품 구하기도 힘든 8461 윌리엄스 F1도 바로 '레이서즈' 테마에서 나온 제품이죠.

또한 제품의 디자인을 보면, 테크닉이나 크리에이터, 특수브릭 등을 거침없이 훑는다는 점이 재미있습니다.


사실 저번에도 레이서즈 제품을 한번 LDD로 작업했더랬죠. (8649 Nitro Menace를 작업했었죠)


오늘은 페라리 라이선스 제품 중에서,

크리에이터 차량 퀄리티로 나온, 8652 엔초 페라리를 작업해봤습니다.


사실, 이 제품은 레이서즈 제품중에서도 드문, 2in1 제품입니다.

기본 모델인, 엔초 페라리 1:17 모델이 있고,

2차 모델인, F333 SP 1:16 모델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 사실을 몰랐다가 작업 단계가 매우 꼬여버리는 불상사가 있었다는 후문..


아무튼, 8652 엔초페라리는 2005년에 출시한 제품으로, 477피스짜리 중형 제품입니다.

조립 방법을 보면, 일반적인 크리에이터 차량에 가깝지만,

크기를 보자면 요즘 나오는 만번대 차량들과 비슷합니다.


페라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빨간색이듯, 빨간색 브릭들이 많습니다.

휠이 은색이라 더 멋집니다.



우선 기본 모델인, 엔초 페라리의 조립과정을 보시겠습니다.

이번에도 렌더링 옵션에서 라이팅을 조금 다르게 줬습니다.

어울리는 옵션을 찾으려고 꽤나 삽질을 했습니다.. 


기본틀은 요즘 나오는 만번대랑 비슷한 구석이 있는데,

장식 붙이고 하는 부분은 조금 올드한 디자인이 보이더군요.


뒷부분입니다. 직각과 곡선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자태를 감상해보시죠.

저 뒤쪽 창문(?) 부분을 열수 있는데, 나름대로 엔진이 구현되어있습니다.


앞부분도 멋있습니다. 옥의 티라 하면, 스티어링휠을 그냥 기어로 처리했다는것..


타이어를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완성을하고 브릭이 남은게 제대로 된건지 모르겠군요.. 허허..

아무리 봐도 저 역 경사 1X6 브릭은 브릭 리스트에 없었던게 아닌가 하는..


앞뒷면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초 페라리라서 차마 다른 색으로 색깔놀이를 못하겠더라고요..



다음은 F333 SP의 1:16 모델입니다.

차량에 대해 잘 모르는 관계로, 차량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패스..

살짝 검색해보니, 르망 24시에 출전하기 위해 디자인된 차량이라고 하더군요.


기본 베이스는 비슷한듯 하면서도 살짝 다릅니다.


중간 부분이 뭔가 광활한게 좀 뚱뚱해 보이기도 합니다.


슬슬 살을 붙여나가니 좀 있어보입니다.

운전석이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는게 재미있습니다.


펜더와 앞쪽 유리창을 달아주니 훨씬 자동차 같군요.


뒤쪽 스포일러와 타이어를 달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역시나 앞뒷면 동시 렌더링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652의 두가지 모델 동시 렌더링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에 출시한 만번대 차량인 F40(10248)과 비교해봤습니다.

역시 빨간 페라리는 진리입니다.


8652-bricks.lxf

8652-63.lxf

8652-100.lxf

8652.lxf

8652 10248.lx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