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레고 창작자분들은 한분한분 다 귀하시지만,

그중에서 전방위로 고유한 매력을 발산하시는 분 중 한분이 'DASI'님이죠.

 

최근 창작품 중에 '미니 포르셰'가 있는데요.

최대한 스터드를 드러내지 않게 표현하면서,

포르셰 고유의 곡면도 잘 살린 멋진 작품입니다만..

그 보다 더 큰 매력 포인트라 하면, 인스트럭션을 무료로 공개하셨다는 것.

 

관련 링크: 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5853551

 

DASI님도 최근 트렌드에 맞춰서, 인스트럭션 제작이 쉬운 Studio로 작업하셨는데요..

저는 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싶어서,

오랜만에 LDD를 꺼내들었습니다.

다만, 커스텀으로 브릭이 추가된 LDD!

 

커스텀 브릭 추가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관련 링크: 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5854824

 

인스트럭션이 무료로 공개된 만큼,

창작품이지만, 조립 과정을 같이 따라가보려합니다.

 

오랜만에 등장하는 브릭 배열샷.

기본 버전의 LDD에는 없는 브릭들이 좀 있습니다.

 

밑판은 검은색 브릭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옆면에 스터드가 들어간 브릭들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지 않았더군요.

 

8스터드 넓이로 디자인되어, 비교적 세세한 표현이 들어간 것이 특징.

하지만 스피드 챔피언즈나 크리에이터 3in1에서도 볼수 없는

독특한 조립법이 들어간게 가장 큰 매력 포인트입니다.

특히 앞쪽 범퍼(좌측하단 방향)에 홀더 브릭과 막대기 브릭을 조합한 연결 방식은,

DASI님의 내공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운전석과 중앙의 분리막을 표현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테일 라이트 부분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표현되어있습니다.

 

뒤쪽의 스포일러(?)와 타이어까지 붙이면 완성됩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구리 같은 앞쪽 부분이 잘 표현되어있습니다.

 

더블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퀴가 살짝 작은 느낌이지만, 뭐 8스터드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전반적으로 무난한 비율이지 않나 싶습니다.

2021년도의 만번대 차량도 포르셰인데, 같이 놓으면 잘 어울릴 것 같습니다.

 

다른 차량들과 함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래는 8스터드 버전 스피드 챔피언즈 제품과 비교할랬는데,

공교롭게도 8스터드 버전은 Studio로도 작업해놓은게 없어서..

LDD로 작업한 것들중에서만 비교하기로..

 

좌측 상단의 빨간 친구는, 만번대 차량인 10248 페라리 F40이고,

우측의 녹색 개구리는, 스피드챔피언즈의 75888 포르쉐 911 RSR 과 911 터보 3.0 중,

포르셰 911 RSR만 비교해봤습니다. 

 

 

DASI-Mini Porsche.lxf
0.03MB
DASI-Mini Porsche-size.lxf
0.09MB

2019년도 상반기 크리에이터 3in1 제품인, 31087 사막 버기카의 얼터너티브 모델 중 하나를 만들어봤습니다.


다수의 31087 얼터너티브 모델을 만들고 있는 리브리커블의 fosamax의 또다른 작품입니다.

그중, 이번에는 광산트럭을 만들어봤습니다.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PDF로 깔끔하게 정리된 인스트럭션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31181/fosamax/31087-mining-truck/



그럼 사진 리뷰 시작!


















끝!

2019년도 상반기 크리에이터 3in1 제품인, 31087 사막 버기카의 얼터너티브 모델 중 하나를 만들어봤습니다.


리브리커블에서 fosamax라는 아이도로 활동중인 작가의 작품중 하나인데요.

2019년에 혜성처럼 등장하여 31087 얼터너티브만 13개를 등록한 작가입니다.


13개의 얼터너티브 중에서, 이번에는 스타워즈의 엑스윙을 모사한 작품을 만들어봤습니다.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PDF로 깔끔하게 정리된 인스트럭션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30451/fosamax/31087-blue-squadron-resistance-x-wing/



그럼 사진 리뷰 시작!















끝!








skeleton torso-bricks.lxf

skeleton torso.lxf


최근에 가루녹차님께서 리브리커블에 등록하셨던 작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왔던 '악당'인, 장고펫/보바펫 부자가 타고 다녔던 우주선인,

슬레이브 I 을 거치대가 포함된 미니버전으로 만든 작품입니다.


해당 작품은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14994/timeremembered/mini-slave-one/


총 146피스의 소형 작품이지만,

슬레이브I만의 매력을 아주 잘 표현했고,

더불어 거치대까지 있어서 진열하기도 좋습니다.


미니 슬레이브의 브릭 배열샷입니다.

신규 브릭들이 몇개 보이는군요.


유료 인스트럭션인관계로, 조립과정 렌더링샷은 생략하겠습니다.(렌더링은 다 해놨는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완성!

UCS버전 못지 않은 비율이 멋집니다.


다른 슬레이브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에 있는 녀석은 2010년 출시 했던 8097 슬레이브I이고,

오른쪽에 있는 녀석은 2016년의 UCS 슬레이브I입니다.


mini slave I-bricks.lxf


오늘 리브리커블에 재미있는 창작품이 등록되어 얼른 LDD로 옮겨봤습니다.


jbohac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작가가 등록한 작품입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12975/jbohac/mini-snow-groomer/


작품설명을 보면, 해당 작가의 형제인, Matej라는 친구가 10~12살쯤에 손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합니다..



1991~1993년도 사이에 10살정도 되는 친구가 손으로 이렇게 정교하게 그렸습니다.

더 놀라운것은 나중에 공개!!



브릭배열입니다.

딱 1991~1992년도에 출시했던 제품 느낌이 물씬 납니다.

작은 타이어가 무려 18개!!


바로 완성샷.!

정말 올드 레고 느낌 나는 디자인입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에 있는 제설 기구(?)를 움직일수 있습니다.

작지만 긴 타이어가 인상적입니다.



이 작품의 놀라운점은 바로!!

인스트럭션을 손으로 그렸다는점입니다.




바로 이렇게요..



실제 레고 제품의 인스트럭션과 같은 느낌을 잘 살렸습니다.

뒤집어서 조립하는 부분이나 유리창의 반사광까지 그려놓은 걸 보면, 정말 꼼꼼한 친구인모양입니다.



가루녹차님의 최신작품인 미니 닌자고 시티를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단순한 창작품은 아니고,

2017년 하반기 크리에이터 제품중,

모듈형 건물 시리즈인 31067 '수영장에서의 휴일'에 있는 브릭들을 활용한 Alternative 작품입니다.


실물 사진과 인스트럭션은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10061/timeremembered/mini-ninjago-city/


PDF로 잘 정리된 인스트럭션을 다운로드할수 있습니다.


바로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녹색판으로 시작하는데,

까만색 1X4타일 브릭으로 구성된 부분은 닌자고 시티의 돌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인듯 합니다.

건물 중앙을 관통하는 수로와 물풀들도 표현되어있습니다.


중간건물들을 올렸습니다.

닌자고 시티에서는 까만색 빠루 브릭들로 표현한 멋진 지붕을, 펜스 브릭 하나로 간단히 표현했습니다.

렌더링 샷에서는 뒤쪽이라 잘 안보이지만, 닌자고 시티 건물에 있는 주황색 등불도 있습니다.


닌자고 시티 건물 코너끝을 보면, 난간을 지지하는 탑같은게 있고, 스피커 혹은 안테나 같은 접시가 달려있는데,

그걸 닭다리 브릭으로 표현한게 놀라웠습니다.

2층 대게 구이집 난간의 간판들도 잘 표현되었습니다.


대게 구이집과 그 위쪽으로 있는 방사이의 연결 다리도 깨알같이 표현되어있습니다.


건물 뒷편입니다. 뒤쪽엔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그걸 홀더브릭들로 간단히 표현했습니다.


회전초밥집이 있는 옥상 조립중.

의상실의 곡면 유리 부분은 원판 브릭으로 간단히 표현했습니다.


건물 옆의 나무와 위쪽 탑 부분까지 올려주면 완성!

색상차이 때문에 조금은 다르게 보이지만, 디자인 만큼은 '미니'사이즈에 맞게 아주 잘 표현되어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의외로 거의 모든 요소들이 다 표현되어있습니다.

브릭 활용도가 최고!


70620 닌자고 시티와 비교해봤습니다.

단순한 미니 모듈러가 아니라 31067의 Alternative모델이라는 점에서 더 가치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31067-bricks.lxf


레고당에서 활동하시는 국내 창작가이자, 레고사에서 진행했더 Remake 프로젝트에 참여하신,

가루녹차님의 최신작을 LDD로 살펴봤습니다.


해당 작품은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10009/timeremembered/spinning-robot-owl/


가루녹차님 작품 답게, 깔끔한 PDF 인스트럭션으로 정리되어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걸 만들어보기 위해서는 31062 탐험로봇이 필요하고,

위의 링크에 있는 브릭리스트에 있는 추가 부품들이 있어야합니다.


위에 보이는 브릭들이 추가로 필요한 브릭들인데,

LDD상으로는 풀백모터(태엽 모터)가 없는 관계로 그것만 빼놨습니다.


위에 있는 풀백모터와 42035 광산트럭, 그리고 42038 레이싱 카트가 있으면,

추가 브릭들 수급이 가능할듯 합니다.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에 다른 브릭들로 얼기설기 만든 풀백모터를 넣고,

길다란 테크닉 리프트암 브릭들을 넣어서 기본틀을 잡습니다.


참고로, 양쪽 커다란 바퀴를 끼우는 액슬빔 브릭은 위와 같이 조립하시면 됩니다.

인스트럭션 상으로는 뒷면이 잘 안보여서 잘 모르고 넘어갈수 있는 부분입니다.

나중에 노란색 3L짜리 리프트암 브릭으로 덮어서 고정시켜준다고 이해시면 될것 같습니다.


중간중간 기어가 들어갑니다. (기어 연결은 뒤쪽 참조!)

로봇의 몸통 부분은 'ㅍ'자 브릭을 사용하여 빠르게 조립합니다.


커다란 원호 브릭을 사용해서 팔과 손을 만들어 붙였습니다.


다리에 해당하는 양쪽 바퀴들과 보조바퀴를 부착하면 기본 몸통은 완성됩니다.

다음은 31062의 브릭을을 활용해서 로봇의 머리를 만듭니다.

31062의 브릭들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게 특징.


머리를 올려주면 완성!


기어들은 위의 렌더링샷 처럼 연결되어있습니다.

양쪽 다른 크기의 기어를 사용했지만, 각각의 방향에 있는 기어들이 같은 기어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속도차가 있거나하진 않습니다.

약간 느리게 돌리려고 한다면, 양쪽다 작은기어(10티스)로 구성한 뒤에,

중앙에 있는 기어를 물고 있는 테크닉 핀을,

마찰력 없는 베이지색 대신에 마찰력 있는 파란색으로 바꿔주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평소에는 팔이 내려가 있다가, 태엽을 감아서 돌려주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팔이 벌어집니다.

로봇의 손은 무게추 역할도 하고요.


돌려봤습니다.. 허허..

실제로는 더 빠르게 도는듯 하더군요.


Spinning Robot-bricks.lxf

Spinning Robot-bricks+31062.lxf


최근에 리브리커블에 등록된 가루녹차님의 MOC 작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이번 작품은 스타워즈의 75080 AAT의 브릭들을 활용한 작품으로,

스타워즈 스핀오프 영화인, 로그원에 나왔던 '제다'라는 도시를 모사한 작품입니다.


아래의 링크로 가시면 실물 사진과 더불어 깔끔하게 정리된 PDF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수 있습니다.

https://rebrickable.com/mocs/MOC-9599/timeremembered/the-jedha-city-for-microfighter-isd/


마이크로 파이터즈의 제국군 스타 디스트로어이어(75033)를 올려줄수 있는 멋진 거치대이기도 합니다.


조립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키텍처 제품처럼 플레이트 브릭들로 밑판을 잡아줍니다.

스터드를 세어보니 10x6크기이군요. 대략 8cm x 5cm정도 될듯 합니다.


제다 시티는 호주의 에어즈락 처럼 생긴 바위산 위에 있는 도시라는 설정이라서,

초반부터 큼직한 브릭들로 외형을 잡아줍니다.


중간중간 재미있는 조립법도 등장합니다.


역시나 커다란 곡면 브릭들을 활용해서 바위산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75080의 브릭 구성이 이렇게 좋았을까 싶을정도로 이런저런 종류의 브릭들을 알차게 사용합니다.


렌더링샷 왼쪽편에 보면, 홀더 브릭과 곡면 브릭들을 활용해서 불규칙한 바위산 옆면을 잘 표현했습니다.


윗부분의 거치대 장식까지 달아주면 완성!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5033 ISD를 얹어봤습니다.

은근 잘 어울립니다.


간단하게 애니메이션도 만들어봤습니다.

카이버 크리스탈을 운반하는 스타 디스트로이어(..)라는 설정입니다.


75080-bricks.lxf


레고당에서 활동하시는 퐁팡핑요님께서 제작한 최신 MOC를 소개해볼까합니다.

작년 하반기에 출시했던 만번대 차량 제품인 10252 비틀의 브릭들을 활용해서,

미래형 디자인이 돋보이는 F1차량을 디자인하셨습니다.


인스트럭션과 실물 리뷰 사진은 아래의 링크들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1047015

https://rebrickable.com/mocs/MOC-9389/PONPANPINO/volkswagen-advanced-f1-racing-car/


10252의 브릭이 1,167개인데, 퐁팡핑요님의 작품에는대략 751개 정도의 브릭이 사용되었고,

얼추 65%의 브릭이 활용되었습니다.



우선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는 차량 조립 완료후 붙일 차량 악세서리 부분들을 먼저 만듭니다.

중간중간 퐁팡핑요님 특유의 디자인들이 돋보이는 구간이 있습니다.

퐁팡핑요님이 사용하시는 인스트럭션 프로그램인, 블루프린트의 약점때문에, (조립단계에서의 브릭은 무조건 핑크색)

뒤쪽 조립단계를 보시면서 만드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기본 세팅(?)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차량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밑판을 깔다보니 문득 두가지 생각이 들더군요.

하나는 은근 올드 크리에이터 조립하는 느낌이 있었고,

또다른 하나는, 퐁팡핑요님의 밑판 디자인하는 스킬을 보니 조만간 모듈러 창작도 하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차량 차체를 한단계 더 올리면서, 앞쪽 코 부분의 디테일을 살려줍니다.

LDD상으로는 약간 까다로운 조립법이 들어가더군요.


허허.. 갑작스런 전개!

퐁팡핑요님 만의 깨알같은 조립 디자인을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유선형의 차체가 잡히기 시작합니다.

운전석 부분에서는 LDD상으로 약간 브릭 충돌이 일어나서 브릭 수정이 불가피했습니다.

그래서 운전석 앞쪽 부분은 한동안 공중부양으로 있다가 최종적으로는 다 결합이 되었습니다.


차량의 뒷부분을 약간 더 보강한뒤 다른 방향에서 렌더링해봤습니다.


운전석 부분에 유리덮개를 달고 뒤쪽 배기구 등 디테일을 더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초반에 조립했던 타이어와 나머지 악세서리들을 부착하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쪽 타이어의 반쪽짜리 도넛 모양 디자인 조립이 은근 복잡하더라고요.

특히 인스트럭션을 보고 조립할 때는 공중 부양중인 부분이 있어서

조립하면서 약간 신경을 쓰셔야할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납작하면서도 날렵한 모양이 멋집니다.

바퀴축이 같은 선상에 있어서 그런지 더 납작해 보이기도 하고요.


퐁팡핑요님의 또다른 대작! 10247 F1 레이싱카와 함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둘다 F1 레이싱카이지만 둘다 Alternative 모델이라는 부분이 포인트입니다.


10252 비틀과 10252 Altertnative모델들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퐁팡핑요님의 작품에 더해서, 가루녹차님의 롤스로이스빈티지 트럭이 가세했습니다.



10252-bricks.lx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