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LDD로 작업을 하기도 했고,

실물로도 몇번 반복 조립을 했던 제품인데,

불현듯 Studio로 다시 만들어봐야겠다 싶어서 다시 작업해본..

7471 '화성 탐사 차량'입니다.

 

LDD로 했던 리뷰: www.clien.net/service/board/cm_leo/9857903

실물 조립 리뷰: 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7628281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지난 리뷰에서 꽤나 자세히 다뤘기 때문에..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

 

뭐. 요약하자면, 7471이 출시했던 2003년에 화성으로 쏘아올린 두 대의 탐사차량인,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를 본뜬 레고 제품입니다.

놀랍게도 두 대중 하나인 오퍼튜니티는 원래 계획이던 3개월정도의 작동 시간을 훨씬 더 초과해서,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장장 15년에 걸쳐 화성 위를 돌아다닌 전설을 만들어냈죠.

 

아무튼..

7471은 디스커버리 테마에서 나온 테크닉 기반의 제품이고

총 857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발매되지는 않았고, 미국에서는 89.99USD에 판매했습니다.

그때 환율로 계산해보면, 2022년 기준으로 대략 15~16만원 정도였네요.

 

화성 탐사에 대한 로망을 자극하는 그런 제품이라,

요즘같은 시기에 리메이크 해줬으면 하는 그런 바람이 있습니다.

오퍼튜니티 퇴역 기념으로다가.. 허허.

 

그럼 Studio리뷰 시작!

7471은 정말 독특한 조향 기어로 구성된 제품이죠.

총 3쌍의 바퀴가 있는데 앞쪽과 뒤쪽이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그걸 4각 기어로 돌리고, 그걸 또 리프트암 방식으로 한번 더 꼬아서 조작합니다.

 

뒤쪽에 들어간 투명 에어피스톤(댐퍼)은 나중에 태양광 패널을 접고 펼치는 기믹을 위한 것.

 

또 뭔가 마구 조립되었습니다.

지그재그 방식으로 움직이는 앞쪽의 프로브와 나중에 카메라 기둥을 올리고 내리는 에어피스톤도 있습니다.

 

중앙의 바퀴축은 고정이라 통짜로 조립하여 몸체에 붙였고,

앞쪽과 뒤쪽 바퀴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4개의 브릭 뭉치를 만들어 붙입니다.

 

몇몇 장식들과 카메라 기둥을 붙였습니다.

 

바퀴들과 태양광 패널까지 붙이면 완성!

태양광 패널은 실제 제품에서는 표면에 작은 돌기들이 있어서 거의 불투명한 느낌인데,

Studio에서는 그걸 구현하기가 쉽지 않아서 뭔가 상당히 SF적인 느낌이 나오는군요.

 

태양광 패널을 접었을 때 모습.

이걸 뒤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카메라 기둥을 돌리는 레버를 살살 돌리면,

카메라 기둥도 위로 펼쳐집니다.

실제로 만져보면 상당히 재미있는 제품.

 

접고 펼친 모습의 더블샷입니다.

기능만 보면 상당히 재미있는 제품인데,

실제로 갖고 놀다보면, 바퀴축 고정부가 좀 약해서 좀 덜렁거리고,

고무줄로 작동되는 부분이 많아서, 장시간 보관하면 고무줄이 삭아버려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작은 몸체 안에 여러가지 기능을 몰아넣은 제품이라 세부샷을 좀 많이 준비해봤습니다.

주요 기어파트 강조샷.

기본 프레임 안쪽에 정말 빼곡하게 기능을 넣어놨습니다.

 

우선은 카메라 기둥 관련 기믹.

수평으로 접어놨던 카메라 기둥이 기본 위치인데,

렌더링샷 오른편에 보이는 레버를 살살 돌리면,

에어 피스톤 중간 부분쯤의 아래에 보이는 돌기가 에어 피스톤을 밀어주게 되고,

그 힘으로 에어 피스톤이 펼쳐지며 카메라 기둥이 수직으로 세워집니다.

세워지는 동시에 아래쪽에 있는 기어가 맞물리며 카메라 기둥을 돌릴 수 있습니다.

상당히 멋진 기믹이죠.

 

태양광 패널 개폐 기믹.

태양광 패널을 위로 접어놓고.. (이건 좀 귀찮아도 하나씩 다 접어야합니다)

에어 피스톤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접히게 되는데,

렌더링샷 왼편에 있는 스위치(?)를 누르면,

에어 피스톤이 옆으로 밀리는 동시에 펼쳐지면서 렌더링샷 위치처럼 가게되고, 태양광 패널이 펼쳐집니다.

 

프로브 기믹.

뒷편 왼쪽에 있는 레버를 돌리면 웜기어가 돌아가며 프로브 팔을 앞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상당 레이다 회전 기믹.

약간.. 억지로 넣은 느낌의 기어파트입니다.

실제로 돌려보면, 왼편의 수직 축 아래에 붙어있는 20티스 기어가 아래로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초반에 언급한 복잡한 조향장치

나름대로 이유가 있겠지만, 약간 오버한듯한 느낌의 조향파트입니다.

아마 지금 이 제품이 나왔다면 또다른 방식으로 단순화 했을듯 합니다만..

'테크닉의 로망'이 느껴지는 7471의 디자인도 나쁘지 않습니다.

 

다른 제품들과 함께!


10300 백투더 퓨처 드로리안: 우측 하단. 2022년 만번대 차량이죠. 회색 계열 제품이라 비교해봤는데, 누가보면 완전 다른 종류의 완구라고 생각할정도입니다. 허허..
42122 지프 랭글러: 좌측 하단. 크기 비교의 단골 고객인 2021년 테크닉 제품입니다. 테크닉의 변화가 정말 많이 느끼지는 그런 제품인듯 합니다.

 

 

 

7471.io
0.82MB
7471-fold.io
0.35MB
7471-size.io
3.27MB

2003년에 레고사는 미국의 다큐멘터리 채널인, 디스커버리 채널과 함께 총 6개의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6개 제품은 모두 우주탐사와 관련된 제품이었으며,

크게, 달착륙 프로젝트 관련 2개 제품, (7468, 10029)

화성탐사 프로젝트 관련 2개 제품, (7469, 7471)

그리고 지구 궤도에 떠도는 천체 2개 제품, (7467, 7470)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그중 개인적으로는 7471 화성탐사차량을 갖고 있습니다.

화성탐사차량은, 올해 2019년 2월 14일에 공식으로 임무를 종료한 오퍼튜니티호의 모습을 본뜬 모델로,

같은 화성탐사차량이 들어있는 제품이 또하나 있는데,

바로 이번에 소개할 7469 화성탐사 임무 (Mission To Mars)입니다.


역시나 2003년에 출시했고, 417피스로 구성된 중형제품입니다.

북미에서는 29.99USD에 판매했고, 국내 판매 기록은 찾지 못하겠더군요..


7469는 총 3개의 기체로 구성되어있는데요.

오퍼튜니티/스피릿호를 본뜬 화성탐사선 하나,

이미 화성에서 임무를 수행중이었던 화성 궤도 인공위성인 2001 마스 오딧세이,

그리고 화성탐사선을 싣고 갔던 델타II로켓입니다.


의외로 LDD에 없는 브릭이 좀 있었습니다.


71509, 사각 단면 고무줄 4개.

당시에는 고무줄이 아래의 브릭에 감겨 있었죠.

41752 고무줄 감개입니다. 중앙에 테크닉홀 2개가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해당 브릭으로 만든 창작품이 꽤있을법도 한데, 의외로 한두개 정도만 겨우 찾아지더군요..


그리고, 테크닉 액슬 홀이 있는 고무 바퀴 6개. 32193

타이어와 휠이 한꺼번에 결합된 형태입니다. (1998~2003년 사이에 나왔던 바퀴입니다)


75c05, 40mm 길이의 호스



없는 브릭들은 대충 비슷한걸로 대체하여 조립을 완성했습니다.


2001 마스 오딧세이 인공 위성을 만들고,

화성탐사차량 밑부분을 조립했습니다.

인공위성 밑판에는 도넛 모양의 화성 표면을 묘사한 둥그런 스티커를 부착합니다.

화성 상공에 있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죠.


화성탐사차량을 완성하고,

델타II 로켓과 발사대를 조립하기 시작합니다.


높은 브릭과 테크닉 브릭을 번갈아가며 조립합니다. (탑 중앙에 잘못 조립한 부분이 있는데 나중에 수정했습니다)


발사대 탑을 다 만들고 나면 델타II 로켓을 만듭니다.

발사대는 실제로도 좀 투박하게 생기긴 했고, 레고에서도 외형보다는 튼튼함에 비중을 둔것 같습니다.


완성된 로켓을 올리면 완성!


7469의 더블샷 렌더링입니다.

로켓이 발사대와 연결된 부분이 거의 없어서, 세워놓은 것이 살짝 위태하긴 한데 그래도 나름 멋은 잘 살린듯 합니다.


다른 우주 관련 테마 제품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에 보이는 것은 같은 디스커버리 테마의, 10029 달착륙이고,

렌더링샷 제일 오른편에 보이는것은 시티 테마의 60080 스페이스 포트입니다.


Studio 2.0에서 다시 렌더링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tudio에도 고무 바퀴는 없더군요..



7469-bricks.lxf

7469.lxf

7469-size.lxf




2003년도에 NASA가 화성에 두번째로 화성탐사선을 보내면서,

레고사와 콜라보레션을 했더랬죠.

 

NASA는 두대의 화성탐사선을 보냈는데,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라는 이름이었습니다.

그중 스피릿은 2011년에 활동을 중단했고, 오퍼튜니티는 놀랍게도 2016년 현재까지도 작동하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잡담'은 예전에 레고당에 작성했던 실물 조립 리뷰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7628281

 

7471은 2003년도에 출시한 디스커버리 제품으로, 870피스에 90달러로 출시했습니다.

실제 제품을 구입한건 2005년 겨울인데, 정확히 얼마에 구입했는지 도저히 기억이 안납니다..

 

아무튼, 이 제품은 디스커버리 제품 중에서도 '테크닉'으로 분류해도 무방할 정도로 테크닉스러운 제품입니다.

LDD에는 없는 브릭들이 꽤 많았습니다.

그래서 대체하거나 아예 빼놓은 브릭들도 제법 있습니다.

이 제품에는 또 요즘엔 도통 보이지 않는 주사기 형태의 공압 쇽업도 있습니다.

 

기본 프레임에 조향장치를 달기 시작합니다.

바퀴가 총 6개인데, 앞쪽과 뒤쪽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돌아갑니다.

 

나중에 태양광 패널 접고 펴는 기믹에 사용하는 공압 쇽업은 다른 브릭들로 비슷하게 만들어줬습니다.

조향장치를 위해서 기묘한 브릭 조합이 들어가는게 재미있습니다.

놀랍게도 LDD에서도 돌려볼수 있다는 사실! (4각 기어를 빼놓은 상태에서지만요..)

 

의외로 기믹들이 많기 때문에, 안쪽은 의외로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참고로 조인트 브릭이 올드버전이라서 길이가 잘 안맞는 관계로 약간의 브릭수정+대충 조립이 들어갔습니다.

아. 그리고 앞쪽에 프로브가 달린 팔을 달아줬습니다.

 

또하나의 공압 쇽업이 들어갑니다.

이부분은, 나중에 탐사용 카메라 기둥을 펼쳐주는데 사용합니다.

실제 제품에서 상당히 놀랍게 디자인된 부분중 하나죠.

 

옆구리에 또하나의 기어조합을 붙여주고,

옆구리에 바퀴를 달 준비를 해줍니다.

 

이제 점점 덩치가 커집니다.

 

앞뒤쪽 바퀴들을 다 달아주고, 조향용 커넥터들도 연결한 상태입니다.

옆쪽에 가짜 서스펜션 스프링 장식도 달아줬고요.

 

관측용 카메라 기둥입니다.

이 기둥은 접어놨다가 펼칠수 있는데,

뒤쪽에 있는 핸들을 살살 돌려주면, 돌기같은게 공압 쇽업을 밀게되고,

공압 쇽업이 살짝 들리면서 기둥이 일어납니다.

계속 그 핸들을 돌리면, 아래쪽에 있는 기어들이 직각으로 맞물려서 카메라를 빙글빙글 돌려줍니다.

 

중간부분에 조립하던 기어들은 위쪽에 있는 파라볼릭 안테나를 돌려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다음은 태양광 패널을 잡아줄 프레임들을 만들어서 붙여줍니다.

 

타이어들을 달아주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드 제품치고 스페어브릭이 많이 없다는게 좀 아쉬운 점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너무 썰렁해서...

 

발로하는 합성으로 파란색 패널을 넣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허허.. 그냥 실물 리뷰를 보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기믹들만 떠로 빼내어서 렌더링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란색은 조향장치, 파란색은 탐사용 팔 조작,

빨간색은 태양광패널 조작, 연두색은 파라볼릭 안테나,

그리고 자주색은 탐사용 카메라+기둥 조작입니다.

그리 크지 않은 제품 안에 5개의 기믹을 꽉꽉 채워놓은게 참 대단합니다.

 

다만, 실물의 단점을 좀 찾자면, 바퀴를 잡고 있는 부분이 그렇게 견고하지는 않아서,

장시간 진열해두면, 살짝 주저앉습니다.

그리고 테크닉 치고는 전반적으로 살짝 견고함이 떨어진달까요?

마지막으로 고무줄은.. 뭐 이 제품에 해당하는 문제는 아니겠지만,

몇년 안되면 금방 삭아서 교체를 해줘야한다는점..?

생각보다 고무줄이 많이 들어가는 제품이거든요..

 

우주 시리즈에 걸맞는 제품들과 크기비교를 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테크닉 제품이랑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근히 큰 편인데다, 태양광패널까지 붙이면 굉장히 공간을 많지 차지하는 제품입니다..

 

7471-bricks.lxf
다운로드
7471.lxf
다운로드
7471-size.lxf
다운로드
7471-size2.lxf
다운로드

 

 

2003년도에 레고사는 디스커버리 채널과 콜라보하여 6개의 제품을 내놨는데요.

그중에 만번대 번호를 받은 제품이 하나 있는데, 바로 Lunar Lander(10029)입니다.

말 그대로 달착륙선을 모티브로한 제품입니다.


브릭수는 453피스로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달착륙선이라 그런지, 브릭옐로우와 회색이 많군요.

미니피겨는 달탐사 우주인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작은 착륙선 아래쪽부터 시작합니다.


착륙선의 다리를 만들어주는 중입니다.


4개의 다리를 만들어주고 사다리도 만들어줬습니다.

아쉽게도 다리가 접히진 않는구조입니다.


이제는 윗부분을 만드는 중입니다.


둥그런 아치형 구조의 입구가 재미있습니다.


윗부분을 대충 완성해줬습니다.


완성!

윗부분은 나중에 탈에서 이륙할때 따로 떨어져 나가는데, 나름 설정(?)에 맞게 슬쩍 얹혀있는 구조입니다. (브릭으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윗부분은 이런식으로 따로 꺼낼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구조인지는 좀 검색을 해봐야할듯..


인류에겐 '큰 걸음'을 연출해봤습니다.


발로하는 합성으로, 달에서 이륙하는 장면을 연출해봤습니다.


빙글빙글 도는 장면도 만들어봤습니다.

좀 빠른듯하군요.. 허허..



10029-bricks.lxf


10029.lxf


10029-dp.lx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