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도 테크닉 라인업 총정리입니다.


2008년도에는 총 7개 제품이 출시했습니다.

요즘 테크닉은 못해도 매년 10개 제품은 나오는데,

2001년부터 2008년까지는 거의 테크닉의 암흑기라 할수 있을 정도로 적은 제품들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09년 부터는 다시 11개 제품이 나오기 시작하며,

아직까진 최소 10개 이상의 제품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2012년엔 9개 제품이긴 했네요)



주요 제품으로는 8295 텔레핸들러와 8297 오프로더 트럭이 있습니다.

그외에도 찬찬히 살펴보면 2008년 라인업은, 괜찮은 제품들만 엄선된 느낌이 있습니다.


역시나 2008년도 제품중에는 실제로 보유한 제품이 없어서,

감상평도 LDD의 간접경험을 토대로 기록하였습니다.


2008년도 테크닉 A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294 굴삭기부터 RC를 제외한 모든 파워펑션 부품이 모두 들어간 8297 오프로더 트럭까지,

멋진 제품들이 대부분입니다.


2008년도 테크닉 B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모델 또한 A모델 못지 않게 상당히 다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서,

라인업 전체가 매력있다고 볼수 있겠네요.



Technic-2008A.lxf

Technic-2008B.lxf





그럼 제품별 총평 들어갑니다!



1. 8290 미니 지게차. (89피스, 7.99USD, 12,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654308


A모델: 지게차/ B모델: 버기카

아마도 테크닉 지게차 중에서는 가장 작은 제품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고무줄로 구현한 마스트 기믹도 좋고, 전체적인 디자인도 귀엽습니다.

B모델은 버기카인데, 적은 브릭수에도 불구하고 고무줄을 사용한 서스페션 기믹이 잘 살아 있습니다.



2. 8291 오프로드 모터사이클. (248피스, 24.99USD, 35,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9523680


A모델: 오프로드 모터사이클/ B모델: 초퍼

같은 스케일의 오토바이 제품 중에서는, 비교적 작은 제품이 아닌가 싶습니다.

크기는 작지만, 색감이나 디자인이 경쾌한 느낌이라 독특함이 있습니다.



3. 8291 체리피커. (726피스, 59.99USD, 90,000원, 파워펑션)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1297640


A모델: 체리피커 트럭/ B모델: 덤프트럭

의외로 알찬 트럭모델입니다.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으면서, 파워펑션을 기본제공하여, 뒤쪽의 크레인의 모든 동작을 파워펑션으로 구동이 가능합니다.

다만, B모델은 A모델을 기반으로 적재부 상하 작동 기믹만 있어서 좀 아쉬움이 있습니다. 




4. 8294 굴삭기. (720피스, 59.99USD, 85,000원, 파워펑션 추가 가능)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0783969


A모델: 굴삭기/ B모델: 스노우 모빌

크기로보면, 8043 RC굴삭기에 꿀리지 않는 제품입니다.

게다가 삽을 달고 나왔다는 부분에서 큰 장점이 있는것 같고요.

그래서 그런지 8043과 같은, RC로 작동하도록 개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B모델은 레고 전체 모델로 봐도 흔치않은 적재부가 있는 스노우 모빌입니다.

굴삭기와 비슷하게 비대칭적인 모습이 매력포인트인데, 조작되는 기믹이 조금 단조로운게 단점입니다.




5. 8295 텔레핸들러. (1,182피스, 89.99USD, 130,000원, 파워펑션 추가 가능)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9795790


A모델: 텔레핸들러/ B모델: 로그로더

2008년도 모델 중에서 가장 화려한 제품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물론, 8297 오프로더가 있긴 하지만, 테크닉의 장점을 가장 잘 살릴수 있는 '중장비'인데다가,

다양한 기믹, 멋진 B모델까지 여러가지 매력을 고루갖춘 멋진 모델입니다.

A모델의 경우, 8293 파워펑션 세트를 추가할수 있어서 더 좋습니다.

현존하는 테크닉 중에서 가장 큰 '텔레핸들러'모델인 점도 매력포인트입니다.




6. 8296 사막 버기카. (199피스, 19.99USD, 25,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1315198


A모델: 버기카/ B모델: 트랙터

개인적으론 8048 버기카(2010년 출시)가 떠오르는 제품입니다.

제대로 이야기하자면, 8048이 8296을 리메이크한 제품이랄 수 있겠네요.

스티어링 휠과 연계된 조향장치와, 스프링으로 구현한 서스펜션, V2엔진까지 다 갖춘 제품입니다.

또한 B모델이 트랙터인 점도 8048이 그대로 계승했죠.

크기가 크지 않아서 장식하기에도 부담없는 모델이 아닌가 싶습니다.




7. 8297 오프로더. (1,097피스, 119.99USD, 170,000원, 파워펑션)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908464


A모델: 오프로더 트럭/ B모델: 버기카

현재의 파워펑션 부품중, RC 부품들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다 들어간 '럭셔리' 버전 오프로더 트럭입니다.

크기도 엄청난데다, 거의 모든 기믹들을 파워펑션으로 구현해놨고,

윙도어는 피스톤 형태의 댐퍼 브릭을 사용한 부분도 '럭셔리'함을 더합니다.

B모델 또한 '럭셔리'함을 갖춘 대형 버기카이며,

아마도 버기카 중에서는 가장 큰 모델이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A모델은, 큼직한 몸체와 충실한 구동부 때문에 RC 개조 버전이 유튜브에서도 많이 보이는편입니다.





2009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0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1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2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3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4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5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6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7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최근에 구매했던 76102 토르의 무기퀘스트에 힘입어(?)

76102와 76107 모두 LDD로 작업하기로 하였고,

드디어 76107의 LDD리뷰시간이 찾아왔습니다.


76107 타노스: 최후의 전투는, 

총 674피스의 중-대형 제품이며,

미니피겨는 총 4개 들어있습니다. (타노스, 아이언맨, 스타 로드, 가모라)

그중 타노스는 헐크 같은 대형 피겨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북미에서는 69.99USD, 국내에서는 119,900원에 판매중인데,

은근 인기가 없어서 공홈에서도 할인을 했던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인피니티 스톤이 들어있는 6개 제품중에서,

인피니티 건틀릿이 들어있는 유일한 제품으로,

인피니티 건틀릿 풀세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가야하는 제품입니다


브릭수만 세어보면, 가성비가 좋지 않은것 처럼 보이겠지만,

대형 피겨인 타노스와 인피니티 컨틀릿, 그리고 큼직한 엣지 브릭이 많아서,

사실 따지고 보면, 나쁘지 않은 제품입니다.


LDD에서는 당연히 없는 브릭들이 꽤 많았습니다.


36452, 4개의 홀더가 있는 미니피겨 등판(?)


37838, 갑옷 입은 타노스 몸통.


32803, 2x2 역슬로프 곡면 브릭 6개.


36470, 인피니티 건틀릿


36451, 리얼리티 스톤 4개 묶음.


35032, 각종 발사체 한세트.



그럼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타노스, 가모라, 피터퀼 미니피겨와 함께 시작합니다

오토바이처럼 생긴 것은 밀라노의 조종석입니다.

탈착이 가능하고, 볼 조인트 브릭으로 되어있어 어느정도 움직이는게 가능합니다.

다음은 밀라노 동체를 만들어갑니다.

인피니티 건틀릿이 LDD에 없어서, 차선책으로 빌더블 피겨의 주먹을 끼워봤습니다.


동체 옆쪽 벽들을 세워가면 조립합니다.

은근 브릭이 많이 들어가더군요.

안쪽에는 추가 좌석이 있습니다.


동체의 기본 틀을 잡았습니다.

인피니티 건틀릿은, 장갑형태가 아니라, 아예 손을 교체해서 바꾸는 시스템이더군요.

하긴, 장갑형태로 만들려면 말랑한 재질로 만들어야할텐데, 그러면 인피니티 스톤이 제대로 끼워지지 않겠죠..


밀라노의 앞쪽 캐노피와 뒤쪽 날개를 달았습니다.

앞쪽 캐노피는 전체가 열리기도 하고, 유리창만 열리기도 합니다.


동체를 다 조립하면, 날개를 조립하여 붙이는 단계로 넘어갑니다.


오른쪽 날개를 붙였스비다.

날개에도 상당히 많은 브릭들이 들어가더군요.


왼쪽 날개까지 만들어 붙이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화에 나오는 신형 밀라노는 약간 매끈매끈한 느낌인데,

레고로 표현하다보니 조금 각진 느낌이 강하게 나는군요.

그래도 전체적인 외형을 잘 표현한 것 같습니다.


박스샷 보고 간단한 연출샷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화 보신분들은 어딘지 모를 위화감을 느끼실듯..


예전에 나왔던 밀라노(76021)와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크기는 비슷한데, 파란색 밀라노 앞쪽의 각진 부분 때문인지, 예전것이 좀 더 커보이는군요.


그리고! 제가 꼭 해보고 싶었던 합체!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6102 토르의 무기퀘스트에 나왔던 소형 포드를 뒤쪽에 연결한 모습입니다.



76107-bricks.lxf

76107.lxf

76107-dp.lxf

76107-size.lxf

76107+76102.lxf


마블 히어로즈 제품을 LDD로 작업했습니다.


원래는, 따로 계획에 없긴 했는데,

얼마전에 이번에 LDD리뷰하게될 제품인, 76102를 구입하여 조립하는 와중에...

76107 타노스; 최후의 전투와 결합된다는 걸 깨닫고,

실제로 구입하기엔 좀 그렇고 해서 LDD를 통해서 구매욕을 좀 잠재우기 위해 76107과 같이 LDD로 작업했습니다.


76102 토르의 무기 퀘스트는 2018년 초에 출시했던 제품이며,

타노스의 '인피니티 건틀릿' 컴필레이션(?) 제품 중 하나입니다.

인피니티 스톤을 모아 인피니티 건틀릿을 완성하려면 총 6개 제품을 구입해야하며,

76101 아웃라이더 드랍십 공격, (스페이스 스톤)

76102 토르의 무기 퀘스트, (파워스톤)

76103 콜버스 글레이브의 공격, (마인드 스톤)

76104 헐크버스터 스매시업, (타임스톤)

76107 타노스; 최후의 전투, (리얼리티 스톤, 건틀릿)

76108 닥터스트레인지의 생텀 대결, (소울 스톤)

각 제품에 흩어져있는 '인피니티 스톤'을 모으면 인피니티 건틀릿이 완성됩니다.


76102는 총 223피스의 소형 제품이며,

미니피겨는 3개 들어있습니다. 토르, 로켓, 그루트.

북미 판매가는 19.99USD이며, 국내 정가는 34,900원인데,

그냥 온라인 마켓에서 구입하면 3만원 이하로 구입할수 있어서 가성비가 좋은 편입니다.


근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76102는 76107 구입을 위한 미끼가 아니었을까.. 싶은 생각도 드는군요. 허허..



실제품 조립리뷰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849997



LDD에 없는 브릭이 은근 많았습니다.


35480, 1x2 크기의 원형 플레이트 4개.(검은색)


37598, 그루트의 머리.

그루트의 머리 브릭은 놀랍게도 76102에만 들어있습니다.


36451, 리얼리티 스톤 4개 들이 1개.

영화에서는 테서렉트라 부르는 경우가 많았죠.


35032, 각종 발사체 모음.

발사체로 구분되지만, 다른 브릭들이랑 결합하면, '기'도 되고 '전기'도 됩니다.



그럼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멤버들이 타고 다니는 우주선에 붙어있는 소형 우주선입니다.

토르, 로켓, 그루트가 함께 타고 다니며 토르의 '무기'를 찾아 떠나게 되죠.


작은 방 같은 구조가 재미있습니다.

상단에는 작은 브릭 슈터도 달려있습니다.


앞뒤로 유리창을 달아주니 우주선 처럼 보이기 시작합니다.

넓은 곡면 유리창 아래쪽에 있는 3개의 테크닉 핀 돌기들은, 나중에 76107 밀라노와 결합할 때 사용합니다.


위쪽 뚜껑을 조립하여 덮습니다.

그리고 '무기'가 담겨있는 정체불명의 구조물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무기를 담는 구조물까지 조립하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니피겨만 해도 상당히 알찬데, 소형 우주선과 독특한 구조물까지 있어 가성비면에서는 상당히 좋은편입니다.


박스 보고 간단한 연출샷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제품에 있던 소형 우주선과 비교!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우주선은, 76020 노웨어 탈출작전에 있는 작업용 포드입니다.



76102-bricks.lxf

76102.lxf

76102-dp.lxf

76102-size.lxf


2018년 하반기에 출시된, 10268 베스타스 풍력 터빈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10268은 사실 2008년에 한정판으로 나왔던,

4999 풍력 터빈의 리메이크인 동시에, 한정판이 아닌 일반판매로 나온 제품입니다.


미니피겨 4개 포함하여 총 826피스로 구성되어있고,

파워펑션 M모터, 배터리, LED라이트, 연장선까지 들어있습니다.

북미에서는 199.99USD, 국내 정가는 279,900원으로, 좀 비싼 느낌입니다.

미니피겨는 베스타스 서비스 기사 2명, 여성 1, 강아지1개가 들어있습니다.


크기도 상당히 큰데요.

프로펠러 날개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최대 높이가 100cm(1미터)이고,

옆쪽으로도 62cm 넓이입니다.

진열하는데 정말 넓은 공간이 필요하죠.


이 제품의 특이한 점 중 하나는,

조경으로 들어가는 상록수 브릭이 3개 있는데,

이 상록수 브릭을 식물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했다고 합니다.

식물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식물 계열 브릭들은 2019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나오는듯 합니다.

상록수는, 가문비나무라고 하는군요.

-출처: 위키피디아


참고로, 베스타스는 덴마크의 풍력발전기이며 베스타스 홈페이지에도 10268에 대한 정보가 올라와있습니다.

https://www.vestas.com/about/partnerships/lego



LDD에서 없는 브릭이 좀 있었습니다.



16516, LED라이트 1개.


21655, 50cm(20인치) 길이 파워펑션 연장선 2개.

탑 길이가 길다보니 50cm 연장선이 2개나 필요하는군요.


24866, 5잎 꽃 15개


24855, 3줄기 식물 5개



그럼 조립과정을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니피겨들을 준비하고, 서비스 차량을 만듭니다.

마치 시티 차량 만들듯, 조립과정이 간단한 편입니다.


서비스 차량 안에는 각종 공구들과 작업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차량을 완성하고 나면, 32x32 밑판에 브릭을 붙여가며 작은 집(?)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내부에는 간단한 조리기구와 휴식장소도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원래는 LED라이트를 설치합니다.


집을 어느정도 완성하고 나면,

본격적으로 풍력 발전기를 조립하기 시작합니다.

탑이 높고, 끝부분에 무거운 구조물이 붙어있기 때문에,

지지대는 최대한 튼튼하게 조립합니다.


반쪽 원통 모양의 브릭을 사용하여, 아주 길다란 구조물을 만들었습니다.

실물을 조립할 때는 중간 부분에 파워펑션 연장선이 들어갑니다.


탑을 세워 붙이고, 배터리 박스를 설치했습니다.

배터리박스는 브릭으로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쉽게 떼어내어 배터리를 교체할수 있습니다.


탑 끝 부분에는 대형 턴테이블 브릭을 설치합니다.

완성 후에는 돌아가는 부분을 회전할수 있습니다. (멈치가 있어서 일정 각도로만 움직입니다)


그리고 살짝 복잡하게 구성된 기어박스와 M모터를 설치합니다.


3개의 거대한 프로펠러 날개도 차근차근 만들고 있습니다. (날개 하나에 조립 오류가 있긴한데, 나중에 수정했습니다)


거대한 날개들에 각도를 살짝 주고 장착하면 완성!


살짝 복잡한 기어구조입니다.

기어들을 잘 살펴보시면 아시겠지만,

3번에 걸쳐서 감속이 이루어져서, 너무 빠르게 돌지 않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날개와 직접 연결되는 기어에는,

클러치 기어를 사용하여 혹시나 날개가 걸렸을 때 모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되어있습니다.


디테일샷 1.

집 앞쪽에도 나름대로 자잘한 요소가 많습니다.

우체통이나 '불빛'이 들어오는 현관, 파라솔이 있는 마당 등등..

그나저나.. 이왕에 LED브릭을 사용하는거,

현관에만 부착할게 아니라, 꼭대기 부분에도 빨간불이 들어오도록 디자인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디테일샷2.

뒤쪽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뒤쪽은 휑하니 다 뚫려있어서 좀 아쉽긴 하네요.

남는 브릭들이 많으시다면, 뒤쪽도 녹색 브릭 같은걸로 꽉꽉 채워주시면 더 튼튼하고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작게나마 벤치도 보이네요.


다른 높은 제품들과 크기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기준 오른쪽부터, 

3450 자유의 여신상,

10181 에펠탑,

10221 수퍼 스타 디스트로이어,

42055 버킷 휠 엑스커베이터,

이렇습니다.

역시나 에펠탑은 크긴 크군요. 물론 SSD의 위용은 비교 불가입니다.



추가로...

회전하는 버전도 준비했습니다.



작은 버전.



10268-bricks.lxf

10268.lxf

10268-size.lxf




2018년 12월초에 선공개된, 2019년도 상반기 테크닉 제품의 LDD리뷰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42092 구조 헬리콥터이며,

총 325피스의 소-중형 모델입니다.

북미에서는 39.99USD, 국내에서는 44,900원으로 가격이 책정되었습니다.


1번 모델은 구조헬기이며,

2번 모델은 가변익 제트기입니다.



LDD상으로 100cm짜리 끈을 제외하곤 다 찾을 수 있었습니다.


x77ac100, 100cm길이의 노끈..



바로 1번 모델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은 헬리콥터의 중심부 부터 조립합니다.

작게나마 수납공간이 있습니다.


뒤집어서 조립중이며, 착륙용 다리를 만들어 붙였습니다.

나름 디테일 있게, 아랫부분에 램프들을 배치했습니다.


헬기의 몸통을 어느정도 완성하면, 메인 로터와 꼬리의 로더가 연결되는 기어들을 배치합니다.

주요 동력은 기체 아래쪽에 있는 작은 핸들입니다.

기존 헬리콥터 제품에서, 주요 동력 핸들을 기체 옆쪽에 배치한것과 비교되는 부분입니다.


꼬리날개 완성.

수직 날개 전용부품도 사용하여 외형이 멋집니다.


메인로터까지 붙이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 기어파트를 강조해서 렌더링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란색은 아래쪽에서 핸들을 돌리면 작동하는 메인/꼬리 로터 프로펠러 회전이며,

녹색은 기체 왼쪽에 달린 구조용 윈치를 작동하기 위한 기어입니다.


42092 1번 모델의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체 뒤쪽에 툭 튀어나온 하얀 부분은 일종의 수납공간이며,

쉽게 열고 닫을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다음은 2번 모델인 가변익 제트기입니다.

2번 모델에는 총 300피스(92%)의 브릭을 사용합니다.


기본브릭들을 기묘한 각도로 배치하여 날렵한 유선형의 동체를완성했습니다.

단차가 있는 2인승 조종석이 인상적입니다.


앞쪽을 어느정도 완성했다면, 본격적으로 '가변익'부분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프로펠러 날개에 사용한 길다란 브릭과 각종 테크닉 브릭을 사용하여,

기어가 연결된 가변익 한쪽을 만들었습니다.

LDD에서는 브릭 충돌이 일어나서, 꽤나 고생하여 이어붙였습니다.


다른쪽 날개와 뒤쪽에 있는 수직 날개들도 조립 완료.


하늘을 향한 거치대까지 조립하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변익 기어를 강조해서 렌더링해봤습니다.(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의 배기구 위쪽에 있는 핸들을 돌리면, 날개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42092 2번 모델의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날개 각도가 상당히 자유로워서, 역방향 날개도 가능합니다.

오른쪽은 거치대에 올린 모습.


42092 1,2번 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번 모델도 크기가 작은 편은 아니라서 장식하기에 참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테크닉 제품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왼편 상단에 있는 헬리콥터는, 8068 구조헬리콥터이고,

제일 오른편에 있는 비행기는, 42040 소방 비행기의 2번 모델입니다.

이렇게 보니, 42040도 나름 좋은 제품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은근 저평가 받지 않았나 싶습니다.



42092-bricks.lxf

42092-1.lxf

42092-2.lxf

42092-all.lxf

42092-size.lxf



2019년도 상반기 테크닉 제품중,

풀백모터 제품인 42090 도주 트럭과 42091 경찰 추적차를 합쳐서 만드는,

콤비네이션 모델의 LDD리뷰입니다.


콤비네이션 모델의 이름은, 거창하게도... '얼티밋 4x4'


42090(128피스)와 42091(120피스)를 합쳐 총 248피스의 브릭중,

총 235피스(95%)를 사용하며,

아마도 역대 풀백 모터 콤비네이션 모델중에 가장 알차게 브릭을 사용하는 모델이 아닌가 싶습니다.



42090과 42091의 브릭을 합쳐놨습니다.


12799 풀백모터는 2개 다 사용합니다.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풀백모터는 둘다 45도 각도로 기울여 배치하고,

약간의 단차가 있습니다.


패널브릭들을 사용하여 옆부분을 덮고, 운전석도 달았습니다.


역시 풀백모터 시리즈는 튼튼함의 상징이라 그런지,

각종 장식들도 꽤 견고하게 결합합니다.


마치 장갑차와 같은 튼튼함이 느껴집니다.


앞뒤로 보조바퀴까지 조립하면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개의 풀백모터는 각각 아래쪽 바퀴에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90+42091 콤비네이션 모델의 앞뒤 동시 렌더링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기괴하게 보이지만, 실제로 굴려보면 꽤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재료(?)가 되었던 42090, 42091과 한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8년도 풀백 모터 제품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각각, 42072 콰쾅, 42073 퍼펑, 42072+42073결합모델, 콰쾅 퍼펑!입니다.

2018년도 모델이 좀 컴팩트한 느낌이라면,

2019년도 모델은 날렵한 느낌이 있습니다.


42090+42091-bricks+.lxf

42090+42091.lxf

42090+42091-size1.lxf




2018년 12월에 선공개된, 2019년 테크닉 상반기 제품의 LDD리뷰입니다.


이번에는 2019년도 풀백모터 두번째 제품인,

42091 경찰 추격차입니다.

풀백모터 1개 포함하여 총 120피스의 제품으로,

42090 도주 트럭과 마찬가지로, 북미 19.99USD, 국내 29,900원으로 정가가 책정되어있습니다.


42090과 함께, 도망 차량과 경찰차 컨셉이며,

2016년도 풀백모터 제품인, 42046 겟어웨이 레이서와 42047 폴리스 인터셉터와 같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역시나 42090과 42091을 결합하여 만들수 있는 콤비네이션 모델이 있으며,

'얼티밋 4x4'라는 멋진 이름도 붙여져 있습니다.


LDD에서는 아래의 풀백모터를 제외하고 모든 브릭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12799, 풀백모터



바로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2091은 차체가 낮은편이라, 풀백모터의 높이에 맞춰서 차량 프레임을 조립하고 있습니다.


그와중에 차량 옆문과 운전석까지 있습니다.


앞쪽에는 플렉스 브릭을 사용하여 A필러를 완성합니다.

LDD에서는 42091에 들어가는 플렉스 브릭이 꺾이지 않는 속성이라 다른 브릭으로 대체했습니다.


낮은 차체의 경찰 추격차량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풀백모터는 담백하게 뒤쪽에 들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91의 앞뒤 동시 렌더링샷.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왠지 실물로 보면 더 멋질것 같더군요. 


다른 제품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왼편의  녹색 친구는 크리에이터의 31074 로켓 랠리카이고,

오른편의 빨간 친구는 테크닉의 42011 레이스카입니다.

42091이 브릭수는 적지만, 패널 브릭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런지 좀 크게 보이긴 합니다.


42091-bricks+.lxf

42091.lxf

42091-size.lxf


2019년 테크닉 신상 제품의 LDD리뷰입니다.


역시나 12월에 선공개된 2019년도 상반기 테크닉 제품에도,

풀백모터 제품이 두개 있었습니다.

그중 하나는 42090 도주 트럭입니다.

풀백모터 하나 포함하여 총 128이며,

북미에서는 19.99USD로, 국내에서는 29,900원으로 책정되어있습니다.

브릭 수는 적지만 가격은 그대로인 마법같은 일이..! (흑마법)


역시나 LDD에서는 아래의 풀백모터가 없었습니다.


12799, 풀백모터...



바로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에 풀백모터를 위치시키고, 트럭의 외형을 잡아 나갑니다.


뒤집어서 조립중인데,

모터를 뒤쪽으로 확 넘겨서 45도 각도로 꺾인 상태에서 조립을 이어갑니다.


계속 뒤집어서 조립중..

트럭의 밑부분은 심심한편이죠.


약간 픽업트럭 같은 외형의 도주 트럭 완성!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풀백모터는 뒤쪽에 45도 각도로 꺾여서 들어갑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90의 앞뒤 동시 렌더링.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나쁘지 않은편입니다.

스티커까지 들어가면 좀 더 좋아보이죠.


다른 제품들과 비교 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오른편에 파란 친구는 크리에이터의 31070 터보 트랙 레이서이고,

왼편의 녹색 친구는 테크닉의 42065 RC 트랙 레이서입니다.

42090이 브릭수는 적지만, 패널브릭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런지 절대 작은 제품은 아닌듯 합니다.


42090-bricks+.lxf

42090.lxf

42090-size.lxf


2019년 테크닉 신상 제품의 LDD리뷰입니다.



원래는 2019년 1월부터 공식 판매이지만,

이상하게도 12월초 기준으로, 몇몇 제품이 벌써판매되는듯하며,

일부는 벌써 PDF버전의 인스트럭션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42089 파워보트입니다.

총 174피스의 소형 제품이며, 북미에서는 14.99USD, 국내 정가는 21,900원입니다.

국내 정가는 아직 모르겠지만, 대략 2만3천원정도 하지 않을까 싶네요.


1,2번 모델 모두 모터 보트인데,

1번은 좀 더 유선형의 형태이고,

2번은 네모네모합니다.


2019년도 제품이지만, 신규브릭은 없었기 때문에, LDD에서 모든 브릭들을 다 찾을 수 있었습니다.

브릭구성이 그렇게 나쁘진 않은듯 합니다.

아마도 얼터너티브 모델로, 비행기 같은게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우선 1번 모델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시작은 배의 앞부분부터.

바퀴 한개가 들어갑니다.


앞쪽에 패널 브릭들을 사용하여 뾰족한 유선형을 만들고,

42089의 유일한 기믹중 하나인, 1기통 엔진을 만듭니다.

좌석은 아마도 3인승이 아닌가 싶습니다.


엔진 아래쪽에는 2개의 바퀴와 기어들을 사용하여,

바퀴를 굴리면, 엔진과 뒤쪽의 프로펠러가 같이 돌아가도록 디자인했습니다.


뒷부분을 조립하여 붙인뒤, 패널브릭들로 마무리하면 완료!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의 바퀴와 연결된 부분을 강조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배가 날렵한 느낌이라 장식하기도 좋겠더라고요.


42089 1번 모델의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쪽은 기어들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서, 호불호가 갈릴수 있겠네요.

그래도 기어가 돌아가는게 보여야 더 재미있지 않나 싶습니다.



다음은 2번 모델입니다.
2번 모델에는 총 153피스(88%)의 브릭을 사용합니다.

2번 모델에는 앞쪽에 바퀴가 있어서 엔진을 돌리게 됩니다.


한동안은 뒤집어서 조립합니다.

2번 모델은 아쉽게도 엔진돌리는 것만 있고, 프로펠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뭔가 배트맨이 타고 다닐법한 보트가 완성되었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쪽의 바퀴와 연결된 기어부분을 강조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2089 2번 모델의 앞뒤 동시 렌더링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티커를 붙이면 좀 더 괜찮아보이긴 하겠습니다..


42089의 1,2번 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색상배치를 잘해서 그런지, 같은 제품에서 나온 모델이 아닌듯 보이기도 합니다.


다른 선박 제품들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렌더링샷 좌측 상단에 있는 큰 친구는, 테크닉의 42064 해양탐사선이고,
우측 끝에 있는 하얀 친구는, 모텔팀의 5521 Sea Jet이고,
아래쪽에 보이는 것은, 크리에이터의 31083 크루즈 모험입니다.

42089의 1번 모델 같은 경우엔 미니피겨를 태워도 잘 어울릴 것 같네요.



2009년도 테크닉 라인업 총정리입니다.


2009년도에는 총 10개 제품이 출시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8258 크레인트럭과 8265 프론트로더가 있습니다.

2007년도의 파워펑션이 개편된 이후, 2008년에는 8293 파워펑션 키트가 나왔죠.

2009년에는 그 파워펑션 키트를 추가할수 있는 제품도 있고(8265),

기본으로 파워펑션을 제공하는 제품들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009년 제품중에 보유하고 있는건 없습니다.

그래서 감상평도 LDD의 간접경험 위주로 진행될것 같습니다.


2009년도 테크닉 A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263 정설기(Snow groomer)와 같은 생소한 중장비 부터, 다양한 기능이 있는 크레인 트럭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프론트 로더는 충분히 멋지지만, 파워펑션을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아 조금 아쉽습니다.

아마 이때 제품을 구입하라 한다면, 8261 랠리트럭, 8264 하울러, 8258 크레인트럭을 선택했을듯 합니다.



2009년도 테크닉 B모델 모둠샷입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거의 10년전 라인업이기도 하고, B모델이라 유튜브 리뷰도 많지 않더군요.

2009년도 라인업의 B모델중에서 개인적으로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들은,

단연, 8258 크레인트럭의 B모델인, 픽업트럭+크레인 트레일러입니다.

A모델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이기도 하고, 크레인 부분의 기믹도 잘 살려놨습니다.

두번째를 골라보라한다면, 8260 트랙터의 B모델인 오토바이.


Technic-2009A.lxf

Technic-2009B.lxf




그럼 제품별 총평 들어갑니다!


1. 8063 트레일러 트랙터. (1,100피스, 99.99USD)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895889


A모델: 트레일러 트랙터/ B모델: 직파기 트랙터

생각보다 상당히 큰 크기에 놀랐으며, 브릭수와 크기에 비해 기믹이 많지 않아 좀 실망했습니다.

특히, 트랙터 뒤쪽에 달아놓은 구동축과 연결부는, 굳이 만들어 놓고 활용하지 않는게 참 이상했습니다.

그런면에서 2016년도의 42054 엑세리온 트랙터는 정말 좋은 제품이죠..



2. 8256 고카트. (144피스, 24,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396680


A모델: 고카트/ B모델: 트랙터

2009년도 모델 중에서 두번째로 작은 제품입니다.

고카트도 예전엔 단골 소재중 하나였죠.

가장 최근에 나온 고카트는, 2016년의 42048 레이스카트인데,

345피스라서 고카트 중에서는 끝판대장이었죠.

향후에는 더 소형 제품으로 고카트가 한번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3. 8258 크레인트럭. (1,877피스, 240,000원, 파워펑션 기본 제공)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0431787


A모델: 크레인 트럭/ B모델: 트레일러 픽업트럭

2009년도 플래그십 제품입니다. XL모터와 테크닉 배터리 박스가 기본으로 제공되며,

이후 나오는 크레인, 트럭 계열 제품의 형님뻘 되는 멋진 제품입니다.

트랜스미션 기어 변경을 통해 작동하는 다양한 기믹과 크레인 조작, 그리고 금속 소재의 갈고리까지,

정말 알찬 제품이었습니다.

특히 B모델도 기본과 기능, 외형까지 3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모델이기 때문에,

더욱더 소장가치가 높은 제품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4. 8259 미니 불도저. (165피스, 19,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872552


A모델: 불도저/ B모델: 굴삭기

불도저인데, 165피스의 초소형 불도저입니다.

A모델은 불도저이고, B모델은 굴삭기라서,

2007년도의 RC불도저(8275)와 이듬해 나왔던 2010년도의 RC굴삭기(8043)가 동시에 생각나는 제품입니다.



5. 8260 트랙터. (104피스, 9.99USD)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684069


A모델: 트랙터/ B모델: 오토바이

2009년 제품중 가장 작은 제품으로, 앞쪽에는 시티 제품에 주로 사용하는 삽 브릭을 달고 있습니다.

하지만 '테크닉' 답게, 삽을 그냥 손으로 올리는 것이 아닌, 웜기어를 통해 작동합니다.

크기는 작지만, 테크닉이라는 마크를 달고 나올만한 제품이죠.

B모델은 소형 오토바이입니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테크닉 피겨와 잘 어울리지 않을까 싶네요.



6. 8261 랠리트럭. (198피스, 37,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373554


A모델: 랠리 트럭/ B모델: 레이싱 트럭

테크닉 뿐만 아니라, 시티, 크리에이터에서도 가끔씩 보이는 몬스터트럭입니다.

이후 2013년도에 42005 몬스터트럭의 선배격 제품이랄수 있습니다.

크지 않은 제품이지만, 조금은 독특한 조향장치와 서스펜션 스프링이 들어가 있어서,

생각보다 갖고 놀기 좋은 제품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B모델은 레이싱 트럭인데, 디자인이 조금 아쉽습니다.



7. 8262 쿼드바이크. (308피스, 55,000원)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388547


A모델: 쿼드바이크/ B모델: 버기카

크기와 브릭숫자로 보면, 테크닉의 '오토바이'라인업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바퀴가 4개인 쿼트바이크라는 특징 때문에, 조금 작은 바퀴를 사용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크닉 오토바이 제품답게, 서스펜션과 조향장치, 그리고 엔진 기믹까지 충실하게 살려놨습니다.

B모델은 버기카인데, 독특하게도 후륜 조향 시스템입니다.

그래도 '빈칸'이 많고, 기본 프레임은 튼튼해서 그런지, RC개조 버전이 있더군요.



8. 8263 정설기. (590피스, 49.99USD)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868251


A모델: 정설기/ B모델: 스노우모빌

개인적으론 참 생소한 중장비인 정설기(Snow groomer)를 모사한 제품입니다.

아마 테크닉에서나 레고 라인업 전체로 봐도 흔하지 않은 소재가 아닐까 싶습니다.

B모델은 스노우 모빌인데, 2017년도의 대형 제품인, 42069 익스트림 어드벤처의 B모델이 생각나는 디자인입니다.



9. 8264 하울러. (575피스, 95,000원, 파워펑션 기본제공)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0452590


A모델: 하울러 트럭/ B모델: 플렛배드 트럭

총평은, 독특한 브릭이 있는 생각보다 좋은 제품. 이라고 하고 싶습니다.

굴절식 하울러 트럭이 테크닉에서 처음 나오는 소재는 아니고,

트럭이라는 제품 특성상 구현할수 있는 기믹이 많지 않은데,

그래도 M모터를 기본으로 제공하여 그 부족함을 조금이나마 상쇄하고 있습니다.

B모델은 플랫베드 트럭인데, A모델과는 달리, 굴절식 조향이 아닌 전륜 조향을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2011년도의 플랫베드 트럭(8109)에 비할수는 없지만, 충분히 매력있는 B모델임에는 틀림없습니다.



10. 8265 프론트로더. (1,061피스, 120,000원, 파워펑션 추가 가능)

레고당 리뷰 링크: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lego/12351512


A모델: 프론트 로더/ B모델: 목재 운반 크레인

42030 볼보 휠로더 이전에 나왔던 가장 큰 프론트로더 제품입니다.

A모델의 경우에는 나중에 M모터와 테크닉 배터리를 추가로 장착할수도 있습니다.

B모델은, 로그 로더인데 A모델에 비하면 기믹이 비교적 간단한편이고, 파워펑션 추가가 불가능합니다.

역시나 현재까지 나온 프론트로더중엔 42030이 최고인것 같습니다.



2010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1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2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3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4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5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6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2017년도 테크닉 총정리(LDD)



------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