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스타워즈와 레고무비만 봐서 지겨워하셨을분들을 위해서,

이번에는 해리포터를 한번 작업해봤습니다.

 

해리포터와 레고 시리즈는 영화 라이센스 제품이지만,

의외로 긴 시간동안 나왔던 제품 중 하나입니다.

 

최초의 제품은 2001년에 나왔고, 중간아 안나왔던 시기가 있긴했지만,

마지막으로 나온 제품은 2011년이었습니다.

 

거의 10년에 걸쳐서 나온 제품들이 대략 50개 정도 되는데요. (미니피겨 단일 제품이나 프로모션 같은것 제외하고)

그중에 절반 이상이 디오라마형 제품들입니다.

그만큼 '건물'과 관련된 에피소드가 많고, 그와 관련된 제품 출시가 많았다는 뜻이겠죠..

 

그외에 차량이나 기차 같이 하나의 덩어리(...) 로 나온 제품중 하나를 작업해본게,

저번에 나이트 버스(링크)랑 이번의 호그와트 기차입니다.

 

역시 또다른 기차의 나라인 영국이라 그런지.. 아니면 레고사의 취향 탓인지..

호그와트 기차만해도 5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4708: 2001년, 410피스 (마법사의 돌)

4758: 2004년, 389피스 (아즈카반의 죄수)

10132: 2004년, 708피스, 모터 개조 가능 (아즈카반의 죄수)

4841: 2010년, 646피스 (비밀의 방+불사조 기사단+혼혈왕자)

40028: 2011년, 64피스, 미니 버전(프로모션)

 

호그와트 기차는,

빨간색과 까만색, 그리고 노란색의 스트라이프가 매력적으로 어우러진 디자인이 특징이죠.

 

4841은 호그와트 기차중에서는 가장 나중에 나온 녀석이라 그런지,

제법 디테일을 잘 살려놨습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일수 있겠지만, 호그와트 기차중에선 제일 멋진 녀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쪽 목록에도 있지만,

4841은 3개의 영화를 아우르는 제품입니다.

동봉되어있는 하늘색 차량은, 비밀의 방에 나오는 '나는 자동차'이고,

지니위즐리를 보면, 불사조 기사단.

그리고 요상한 안경을 쓰고 있는 루나 러브굿을 보면 혼혈왕자입니다.

 

아무튼..

제품 자체는 굉장히 복잡하진 않습니다.

제일 앞의 기관차랑, 중간에 짐칸.. (석탄차량은 어디에?) 그리고 마지막 객실칸.

레고 기차는 잘 모르지만, 생긴걸로 봐는.. 잘만 하면 객실칸 정도는 요즘 나오는 기차 모터를 부착할수 있지 않을까 싶더군요..

 

조립면에서는 딱히 어려운점은 없었으나.. 중간중간 가방같은걸 공중부양해서 넣어줘야했습니다.

그리고, LDD로 부품 깔면서, 기차 바퀴쪽 부품이 없길래 살짝 당황했었는데..

 

57878 기차 바퀴, 2878 기차 바퀴 홀더, 그리고 57051 기차바퀴 금속 축이 한꺼번에 결합된 브릭이 따로 있더군요.

게다가 세가지 부품 각각 다른 색으로 색칠도 가능했고요.

결론적으로 74784라는 브릭을 사용하면 됩니다.

 

기관차량 앞쪽부분에 까만색이 많아서 렌더링 옵션을 다르게 줄까.. 싶었는데,

그렇게 해버리면 다른 부분이 너무 허옇게 나올것 같아서,

그냥 늘 사용하던 옵션으로 렌더링했습니다.

 

그리고.. 스티커가 없으니 확실히 뭔가 허전하더군요..

 

역시나 LXF파일과 렌더링샷 올려봅니다.

좋은하루되시길 바랍니다.

 

-------------

4841-bricks.lxf
0.04MB
4841.lxf
0.04MB
4841-action.lxf
0.04MB

2016년 11월에 개봉 예정인, 해리포터 시리즈의 스핀오프 실사영화, 신비한 동물 사전 개봉 기념(?)으로,

2010년에 출시한 호그와트성(4842)을 LDD로 작업해봤습니다.


4842 호그와트성은 해리포터 시리즈 전반에 걸쳐 주 무대가 되는 장소인, 호그와트성+마법학교를 디오라마 형식으로 재구성한 제품으로,

해리포터 레고 시리즈 제품 중 두번째로 브릭수가 많은 제품입니다.

가장 피스수가 많은 제품은 10217 다이애건 앨리(2,025피스)입니다.


해리포터 시리즈는 영화든 레고 제품이든 거의 시리즈와 함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유대(?)가 깊기 때문에 굉장히 다양한 제품들이 있지만,

그래도 호그와트 성만큼 상징적인 건물은 또 없죠..


사실 호그와트 성도 여러번 제품화되었습니다.

총 5개의 호그와트성이 존재합니다.

4709: 2001년/ 682피스/ 미니피겨 9/ $90.00/ 마법사의 돌

4757: 2004년/ 944피스/ 미니피겨 9/ $90.00/ 아즈카반의 죄수

5378: 2007년/ 943피스/ 미니피겨 9/ $89.99/ 불사조 기사단

4842: 2010년/ 1,290피스/ 미니피겨 11/ $129.99/ 통합

4867: 2011년/ 466피스/ 미니피겨 7/ $49.99/ 죽음의 성물


이번에 LDD로 작업한 4842를 제외하곤 전부 영화/소설 단일 테마로 되어있는것도 특징입니다.

4709는 왜 또 그렇게 비싼지도 의문..


디오라마형 제품이라 그런지, 브릭 종류가 좀 다양합니다.

LDD작업도중 브릭 누락이 발견되어 나중에 추가한 것이 좀 있어서 약간 누덕하군요..


해리포터 작품 자체가 등장인물이 많다보니, 등장하는 미니피겨도 덩달아 참 많습니다.

왼쪽부터, 볼드모트, 스네이프, 허마이오니, 노리스부인(크룩생크인줄 알았다는), 덤블도어, 필치, 플릿윅 교수, 맥고나걸, 해리포터, 디멘터X2입니다.



시작은 책장(?)부터 시작합니다.

나중에 알게되었는데, 2층 부분을 180 돌려서 조립했더군요.. 완성본 LXF파일에서는 수정했습니다.


다음은 기숙사방 인듯한데, 아마도 불의 잔 배경에 슬레더린 기숙사 휴게실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윗층 부분을 만드는 중인데,

아마도 불의잔 배경으로, 벽난로에서 해리와 대화를 시도하는 시리우스 블랙을 모사한듯 합니다.

슬라이드처럼 왔다갔다 할수 있습니다.


맨 윗층은 부엉이 대기소(?)군요.

불사조 기사단에서 해리와 초챙이 눈빛교환을 하는 곳이기도 하죠.


다음은 대강당+식당입니다.

브릭수는 많아도 표현할 건물이 많다보니, 전반적으로 간략하게 표현되어있습니다.


강단이랑 옆쪽 좌석들도 만들어줍니다.


테이블 세팅 들어갑니다! (그래봤자 영국 요리라는게 함정)


통닭이랑 과일이 들어가도 역시나 영국요리입니다.

건물 옆쪽에는 나름 스테인드 글래스 처럼 표현이 되어있습니다.


해리포터 영화 1,2편만 해도 연령대가 낮았기 때문에 항상 연말 연회때 기숙사 점수 정산을 하곤 했죠.

녹색과 빨간 깃발은 각각 슬리데린과 그리핀도르 휘장입니다. 실제 조립에서는 스티커를 붙이죠.


지금까지 조립한걸 연결해주고, 다음은 덤블도어 교장의 방을 만들어줍니다.


아무나 들어갈수 없는 나선 계단도 보이는군요. (LDD조립할 때는 은근 신경쓰인다는)


교장님답게 의자가 참 거창합니다.


책상과 선반도 이런저런 소품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오랜만에 돋보기를 활용한 확대장면을 만들어봤습니다.

피사체와 거리가 가까워서 확대 효과가 크진 않네요..



지붕까지 얹어주면 완성!(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출샷도 만들어봤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물 전면의 모습은 이렇습니다.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출샷의 디테일샷입니다.

제일 아래에 보이는건 아마도 필요의 방에 있는 순간이동 장농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위에는 우리의 순정남 스네이프 교수님이 있고, 그 뒤에는 디멘터가..

아래쪽에는 필치씨가 노리스부인과 함께 야간 경비중입니다.


다음은 대강당.

맥고나걸 교수님이 대신 연설을 하고 있군요.

허마이오니랑 해리도 보입니다.

합창단을 이끄는 플릿윅 교수님도 보이는군요. (윙가르디움 레비오사로 더 유명하려나요..)

그 오른쪽에는 오랜만에 학교를 방문한 톰리들도 보입니다..


덤블도어의 방입니다.

위에는 그리핀도르의 검도 보이고,

기숙사 선택 모자도 보입니다. (너는.. 그리핀.. 아니, 아즈카반이닷!)


마지막으로, 고대의 성이라는 느낌에서 몬스터 파이터즈의 뱀파이어 캐슬(9468)이랑 헌티드하우스(10228)와 비교해봤습니다.

역시나 클릭하시면 좀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호그와트성은 스케일 자체가 의미가 없어서 조금 힘빠지는 크기비교가 되었군요..



4842-bricks.lxf

4842.lxf

4842-dp.lxf

4842-dp2.lxf










오랜만에 해리포터 시리즈 작업을 또 해봤습니다.

해리포터 시리즈들을 보면, 생각보다 건물형태 제품들이 많습니다.

뭐.. 어떻게보면 당연한것 같기도하고요.


이번에 작업한 제품은,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영화 개봉과 맞춰서,

2004년도에 출시한 Shrieking Shack(4756)이라는 건물형태의 제품입니다.

한국에는 '아우성치는 쉐크'라는 기묘한 이름으로 출시했습니다.

해리포터 소설 번역으로는 '비명을 지르는 오두막집'으로 나오는것 같더라고요..

아니면 차라리 일본식 표현으로 '절규의 집'같이 써도되었을듯한데..

레고 코리아의 작명 센스는 가끔 이해할 수가 없는 구석이 있습니다.


뭐.. 아무튼, 4756(...)은,

생각보다 재미있는 제품이니, 천천히 살펴봅시다.


일단 브릭 구성!

하얀색 넓다란 8X16 브릭이 나름 특이한 구석이랄까요?

브릭 색상 배열은 제법 다채롭습니다.


미니피겨는 4개이고, 해리포터, 피터 패티그루, 시리우스 블랙, 리무스 루핀교수까지 나름 메인 캐릭터들 총집합입니다.

아.. 그리고 이 제품에 동봉되어있는 가장 특이한 브릭.

참고로 LDD에는 이 브릭이 없기때문에, 비슷하게 만들어줬습니다... (크기가 무려 8X8X8)


47316 Switching Mechnism 박스라는게 있습니다. (브릭링크 링크)

안쪽에 구역이 나뉘어져있는 원통이 있는데,

중앙에 보이는 회색 버튼을 누르면, 그 원통이 돌아갑니다.

그래서 동물 피겨를 미리 넣어놓고 한번 돌려준 다음에,

미니피겨를 덮듯이 씌운다음에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미리 넣어놓은 동물 피겨가 튀어나오는식이죠.

마치 변신하듯이요..

이 영상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youtu.be/uUYGVwgbIiM?t=4m35s



다시.. LDD로 넘어가서,

4756은 크게 3개의 집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변신의 집, 양옆으로 열리는 잡화점, 그리고 비명의 집.

그중 양옆으로 열어볼수 있는 잡화점을 만드는중입니다.

소품도 나름 좋고 디자인도 괜찮습니다.


잡화점을 완성하고,

이제 비명의 집 베이스를 만드는중입니다.

이 비명의 집은 베이스가 재미있는데, 여기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밑판이 턴테이블로 되어있어서 베이스를 고정시킨상태에서 집을 빙글빙글 돌려줄수 있습니다.


비명의집 1층입니다.

나름대로 인테리어랑 소품도 잘 채워놨습니다.


2층에는 침대가 있는데, 침대가 뒤로 확 돌아가는 기믹이 있습니다.

피터 페티그루가 도망가는 장면을 연출할수 있죠.


이제 거의 다 완성되었습니다.

외부는 눈이 쌓인 모습을 모사해놔서 나름 운치가 있습니다만...

건물 옆쪽에 해골은 조금.. 섬뜩. (안쪽에 레버가 있어서 해골이 쭉 튀어나오는 기믹이 있습니다)


완성!

헌티드 하우스(10228)처럼, 여기저기 나무 판떼기로 막아놓은것도 재미있습니다. (원래는 나뭇결 프린팅이 되어있습니다)

미니피겨 조합도 나름 재미있는걸 발견하실수 있습니다.

애니마구스(동물로 변하는 능력)인 피터 페티그루와 시리우스 블랙은 각각 동물이 있고, 늑대인간인 리무스 루핀은 머리만 늑대입니다.


비명의 집을 돌려봤습니다. 옆쪽으로 비밀의 문도 있어서 나름 재미있는 연출도 가능할것 같습니다.

헌티드 하우스가 2012년도에 나왔으니, 훨씬 선배인 4756을 많이 참조한게 아닌가 싶을정도입니다.


은근히 오래된 제품이지만, 아직도 제품 거래는 되는것 같더라고요.

4월 나눔의 날에도 레고당 매물로 올라왔던 적이 있고요.


올해 개봉할 해리포터 스핀오프인, 신비한 동물사전도 레고로 나올지 기대중입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