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레고사와 닌텐도사가 협업을 시작할때는, 이렇게 흥할줄은 몰랐습니다.

 

한때는 비디오 게임 업계와 레고사는 일종의 경쟁 관계처럼 지내던 때도 있었고,

레고사도 게임 업계에 뛰어들어 한동안 신세를 졌던 곳은 미국계 회사라 할수 있는 워너브라더 게임쪽이었으니까요.

물론.. 게임 배급은 닌텐도 기기로도 많이 내놓긴 했습니다. (레고사가 그것까지 막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심지어 너도나도 NFC 태그 상호작용 게임을 만들 때,

레고에서는 디멘전스를 내놓으며, 닌텐도의 아미보와 경쟁 관계였기도 했으니까요.

 

하지만.. 디멘전스는 망하고.. 굳이 경쟁을 할필요가 없어진 것 때문인지.. (디즈니의 인피니티도 망했으니 뭐..)

2020년 들어서 닌텐도와의 협업을 깜짝 발표합니다.

 

보통, 레고사는 외부 브랜드와 협업을 하면 딱 2년까지는 제품을 내주고,

흥행이 되면 협업을 이어가는 패턴을 보여줬죠. (첫 1년차때 영 시원찮으면 바로 협업을 끊기도 합니다)

근데, 그게 첫해부터 대박 행진을 이어가더니,

이제는 어른이들을 위한 아이콘즈 제품들도 홈런을 치는 등,

완전히 효자 상품 테마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역시 돈 냄새 하나는 정말 잘 맡는 두 회사가 만나니,

레고인들의 지갑을 열심히 털고 있습니다.

 

71395 '슈퍼 마리오 64 물음표블록'은 2021년에 출시했고,

미니피겨 없이 총 2,064피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미국에서는 199.99USD, 국내에서는 259,900원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최종 완성 기준으로는 나름 가성비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만..

 

얼마전에 한 20% 할인했던걸 보니, 출시 가격이 그렇게 괜찮은 편은 아니었구나 싶기도 합니다.

 

그럼 조립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 부터 범상치 않은 디자인입니다.

길다란 빔 브릭을 옆으로 끼운다든지, 중간중간 조금 독특한 조립법도 보입니다.

 

큼직한 브릭들을 사용하여 빠르게 중심 뼈대를 잡습니다.

테크닉 리프트암 브릭이 결합된 부분은 뒤쪽 뚜껑에 해당하는 연결부입니다.

 

곡면 브릭들을 적절히 사용하여, 뭉툭한 모서리의 육면체 틀을 잡았습니다.

아직은 완성되지 않은 물음표도 보이는군요.

 

어느정도 틀을 잡았다면,

이 제품의 핵심이랄 수 있는 마리오 관련 배경들을 조립합니다.

붉은 타일이 있으니 아마도 용암지역?

 

그 위로는 성이 보입니다.

망원경 브릭을 사용해서 배관 끝부분을 표현한게 재미있습니다.

 

성 앞에는 마리오와 피치 공주도 있군요.

그 오른편으로는 폭탄? 마을인듯 합니다.

곳곳에 대포와 포탄들이 보입니다.

다음은 눈덮힌 산 부분을 조립하는 중.

총 4개의 배경을 만들게 됩니다.

 

후다닥 마무리하면 영락없는 물음표 상자가 완성됩니다.

바닥 부분을 때리면 버섯이 나올것만 같은 느낌.

 

하지만 상자 안에는 이런 비밀이있습니다.

4개의 배경과 쿠파가 나오는 비밀 문까지!

아래족은 LP 턴테이블인듯 합니다.

 

다른 각도 근접샷도 준비해봤습니다.

LP턴테이블과 쿠파의 등장.

 

펭귄이 사는 설산.

 

피치 공주의 성.

 

그 아래에는 쿠파의 지하던전이 있습니다.

 

오른편의 폭탄 세상.

 

뒤에서 보면 뚜껑이 있어서 4개의 배경 부분을 잘 접어서 넣거나, 내놓을 때 어렵지 않도록 해놨습니다.

 

다른 제품들과 함께.


10312 재즈 클럽: 좌측 상단. 2023년 모듈러 제품입니다. 거의 모듈러와 비슷한 부피감이군요.
21056 타지마할: 중앙 하단. 2021년에 아키텍처 버전으로 나온 타지마할입니다. 네모 밑판이라 비교해봤는데,

높이세서 물음표 상자가 승리.

 

 

 

71395.io
0.57MB
71395-open.io
0.74MB
71395-size.io
3.63MB

레고사가 스타워즈를 통해 '어른이'들을 공략한지도 어언 20년..

 

레고사는 한층 더 가열차게 어른이들의 지갑을 털기 위해, 닌텐도와 손을 잡습니다.

 

그리고 나올것이 나왔죠.

71374 '패미컴'

 

71374 패미컴, 레고 제품명은 닌텐도 엔테인먼트 시스템(NES)은,

2020년에 출시한 닌텐도 관련 제품입니다.

총 2,646피스의 방대한 구성이고, 미국에서는 269.99USD, 국내에서는 349,900원으로, (2020년 출시가격은 299,900원)

국내 판매가격 기준으로는 닌텐도 스위치 가격에 버금가는 비싼 가격대입니다.

 

NES에 대한 내용을 좀 검색해봤습니다.

 

레고 제품의 원래 모델이 된 NES는 닌텐도가 1985년에 북미지역에 출시해서 크게 유행시킨 게임기입니다.

 

원래는, 1983년에 닌텐도에서 북미지역의 '아타리' 게임기의 흥행에 자극받아서,

자사의 이름을 걸고 게임기를 만들어보자 한 것이 바로 '패밀리 컴퓨터', 즉 패미컴이었습니다.

요렇게 생긴 단순한 기기였죠.

당시에는 닌텐도와 같이, '아타리'의 아류작들이 범람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나름대로는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 기기를 만들어서 경쟁자들 위에서 놀자.. 뭐 그런 컨셉이었던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초반의 부진을 딛고 닌텐도의 패미컴은 일본에서 크게 흥행하게 됩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게임의 '메카'는 미국이었고 미국에 진출하려 했으나..

때마침 1983~1985에 걸쳐서 '아타리 쇼크'가 터지는 바람에,

미국에 진출하면서 닌텐도는 패미컴을 게임기로 소개하지않고, 가정용 컴퓨터(제품명 그대로..)로 소개했으나,

더욱더 실패..

결국 다시 게임기로 소개하면서, 조금씩 입소문을 타고, 결국 미국에서도 크게 흥행했습니다.

 

어찌나 인기가 좋았는지, 아직도 미국의 중년들에게 TV로 하는 게임기 = 닌텐도라는 인식이 있을정도입니다.

이후 닌텐도는 업그레이드판인 '수퍼 패미컴'을 출시했으나, NES의 인기는 식을줄을 몰랐습니다.

놀랍게도 NES 및 수퍼 패미컴은 2003년까지 가서야 생산이 중단되었다고.. 

 

미국 기준으로는 아타리 쇼크로 망할뻔 했던 콘솔 게임 시장이,

닌텐도로 살아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한국에서는 북미지역 NES의 성공에 힘입어, 현대전자에서 북미버전 라이선스를 받아서,

'현대 컴보이'라는 이름으로 제조해서 판매했고, 마찬가지로 수퍼 패미컴도 라이선스 제작을 했습니다.

 

저는 어렸을적 북미 버전 보다는 소위 '보따리 장수'들을 통해 들여온 일본판도 많이 봤던것 같습니다.

물론.. 친구집에 가서도 해볼 기회는 많지 않았지만요.

 

 

Studio로 작업하면서는, 프린팅 브릭들은 대충 다 생략하고 빠르게 작업을 하려고 했지만..

제일 중요한 브릭이 없어서, 차일피일 미뤄왔더랬습니다.

그랬다가, 나름 꼼수를 써서 브릭을 만든 뒤 후다닥 작업..

 

73210, 2x4크기의 마리오 픽셀 브릭입니다.

해당 브릭 만드는 과정은 별도로 만들었더랬죠. (관련 링크)

73210-pixel.io
0.06MB

 

 

그럼 조립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본체 조립.

본체 안쪽에는 게임 팩을 넣고 고정/사출하는 장치를 만들어 넣습니다.

영상 리뷰를 보면, 꽤나 그럴듯 하더군요.

 

게임 팩이 들어가는 장치를 본체와 연결했습니다.

옆쪽으로는 컨트롤러 연결 단자라든지, 버튼 같은 것들도 보입니다.

 

기기 위쪽의 돌기 부분 장식을 얹었습니다.

옆쪽으로는 영상/음향 단자가 보이는군요.

 

원래 기기에는 없지만, 레고에는 작은 미니어처가 들어있습니다.

수퍼 마리오 스테이지를 작게 표현한 것이 숨어있습니다.

 

본체와 컨트롤러, 게임 팩까지 만들고 나면, TV조립에 들어갑니다.

또하나의 매력포인트죠..

 

안쪽에는 꽤나 복잡한 기어/구조물이 들어갑니다.

바로, 움직이는 게임 화면을 연출하기 위함이죠.

 

조금 더 구조물을 쌓아올리고..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조립하는 게임화면을 조립합니다.

 

조립한걸 감아서 TV안쪽에 설치.

다음은 TV 테두리 부분을 조립합니다.

 

TV 거치대까지 조립하면 완성!

 

근접샷#1

TV화면입니다.

마리오가 움직이는 것은 그 뒤쪽에 있는 동그란 원판 브릭이 돌기에 밀려나는 간단한 원리입니다.

작동영상을 보면, 동그란 다이얼을 돌릴때 '도도독'하는 그런 느낌을 잘 구현했다고..

 

근접샷#2

게임기 본체입니다.

실제 NES처럼 앞쪽 덮개를 열고 게임 팩을 넣고 아래쪽으로 꾹 누르면 고정되는 방식을 잘 구현했습니다.

 

다시 원본과 비교.. 좀 비슷한가요?

 

 

다른 제품과 비교샷입니다.

 

21327 타자기: 우측. 2021년 아이디어즈 제품입니다. 이 타자기 제품도 거의 실물과 비슷한 크기라 하던데, NES도 은근 큽니다.

21334 재즈 4중주: 중앙 상단. 같은 아이디어즈의 2022년도 제품입니다. NES와 마찬가지로 장식하기에 나름 괜찮은 제품이죠.

 

 

71374.io
0.98MB
71374-double.io
1.47MB

 

71374-size.io
1.91MB

+ Recent posts